학술논문
교육 정의의 새로운 논의 공간을 찾아서: ‘용’의 출현에서 인정의 확대로
이용수 26
- 영문명
- Exploring a New Space for Discussing Justice in Education: From the Emergence of “Dragons” to the Expansion of Recogni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홍원표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3권 제1호, 391~41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두 가지 문제의식에 토대를 두고 있다. 하나는 교육 정의에 대한 우리 사회의 관심이 상위권 대학의 입시 결과에 편중되어 있어서 보다 넓은 교육 정의의 문제를 사각지대로 남겨 두고 있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악셀 호네트(Axel Honneth)의 인정 이론에 대한 국내 교육계의 해석이 다소 제한적이어서 그의 논의가 교육 정의에 주는 시사점을 충분히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본 연구는 교육 정의에 대한 기존의 접근이 안고 있는 한계를 드러내고 호네트의 인정 이론에 담긴 시사점을 분석함으로써 정의로운 교육에 대한 새로운 논의 공간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호네트가 제시하는 세 가지 인정 유형인 사랑과 권리 인정, 사회적 가치부여가 교육의 상황에서 갖는 의미는 무엇이며, 이에 기반한 정의로운 교육은 어떤 모습으로 실현될지 탐색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개천의 용’을 좀 더 많이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다수 학생들이 긍정적인 자기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인정의 폭은 넓히고 성취에 따른 차별은 줄이는 것이 우리 교육의 과제라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based on two ideas. One is that the current approach to educational justice leaves a vast area of issues in educational justice untouched, since it predominantly focuses on admission results to a few prestigious universities. The other is that the way Korean educational researchers apply Axel Honneth’s recognition theory to the Korean context is somewhat limited, thus missing its richer implications that can be given to Korean education in terms of justice.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reveals the limits embedded in the current approach to educational justice, while exploring a new space for discussing justice in education through the lens of recognitive justice. In doing so, this article investigates how the three types of recognition proposed by Honneth − love, right, and social value − can be interpreted in education, and what just education would look like based on this interpretation. In conclusion, this article contends that, beyond making a few more “dragons” out of ditches, it is more important to expand the horizon of recognition while reducing unequal treatments based on academic achievement to help the majority of students develop positive self-relationships.
목차
Ⅰ. 서론
Ⅱ. 교육 평등과 공정성 논의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
Ⅲ. 호네트의 인정 이론
Ⅳ. 인정 이론이 교육 정의에 주는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교사이론 형성의 가능성과 한계: 어느 한국 교사분야 연구자의 연구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성소수자 교사에 관한 미디어 담론 분석: 2000년대 이후 언론 보도 기사를 중심으로
- 혁신학교의 담론적 기원과 전개: 전교조 ‘교육민주화’ 담론을 중심으로
- ‘조직 간 협력체제’를 활용한 ‘H지역혁신플랫폼사업’의 사례 분석*
- 학교폭력 제로센터의 운영 진단과 개선 방안 연구: K교육청을 중심으로
- 랜덤 포레스트와 SHAP을 활용한 대학 직원의 직무열의 결정요인 탐색: 조직혁신역량 관점에서
- 초등교사의 관계 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교사 소진과 전문성 개발 활동의 차이
- 고등학생의 공동체의식 잠재 프로파일 분석: 자치・봉사활동 경험과 민주적 학교문화의 영향 및 졸업 후 초기 성인기 시민의식과 사회참여 차이 검증
- 교육 정의의 새로운 논의 공간을 찾아서: ‘용’의 출현에서 인정의 확대로
- 학생자치활동을 통한 학생 목소리의 학교 반영 실행연구
- 코로나19 시기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 및 영향 요인 탐색
- 한국교육학의 분화와 제주교육학 등장의 의미 탐색
- 청소년기 창의성이 진로성숙도의 발달궤적에 미치는 동시효과와 지연효과: 진학 고등학교 유형별 차이
- 지방자치단체와 대학의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실증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