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방자치단체와 대학의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이용수 17
- 영문명
- An Empirical Study on Collaborative Governance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Universitie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주휘정 김택형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3권 제1호, 161~19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등교육의 행・재정적 권한의 지방 이양을 핵심으로 하는 RISE 체계에서 지자체와 대학 간 형성되고 있는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협력성과에 미치는 요인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지자체와 대학 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총 509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수정모형에 따른 표준화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제도기반(.307***)과 리더십(.506***)은 매개요인인 협력과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초기조건(.157)은 협력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이 미미하였다. 종속변수인 협력성과에도 제도기반(.453***)과 리더십(.539***)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효과를 나타내었고, 협력과정(.431***) 또한 유의한 정적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초기조건(-.493***)만은 부정적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협력기관이 대학일 때 협력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 (-.079***)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값은 RMSE .064, CFI.971, TLI .963, SRMR .050으로 나타나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다만 이러한 결과는 공통방법편의에 의해 다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후속연구 시 설문도구에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제도 기반, 초기조건, 리더십이 협력성과를 매개로 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제도기반(.132***)과 리더십(.218***)이 협력과정을 매개로 협력성과에 이르는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정적 효과를 나타낸 반면 초기조건(.068)의 경우 협력과정을 매개로 협력성과에 이르는 간접효과는 미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자체와 대학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과 발전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collaborative governance, which have emerged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universities within the RISE system an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collaborative performance.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local government and university officials, resulting in a total of 509 valid responses, which were then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ccording to the standardized results of the revised model, both institutional foundation (.307***) and leadership (.506***) exert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collaborative process, which functions as a mediating factor, whereas initial condition (.157) has only a negligible impact on the collaborative process. With regard to the dependent variable (collaborative performance), institutional foundation (.453***) and leadership (.539***) again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and collaborative process (.431***)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However, initial condition (-.493***) emerges as having a negative impact. In addition, when the collaborating partner is a university, its effect on collaborative performance diminishes (-.079***). Tes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institutional foundation, initial conditions, and leadership on collaborative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ve process reveals that institutional foundation (.132***) and leadership (.218***)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direct effects on collaborative performance via collaborative process. In contrast, initial condition (.068) exerts only a minimal indirect effect. Building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offer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enhancement of collaborative governance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universitie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교사이론 형성의 가능성과 한계: 어느 한국 교사분야 연구자의 연구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성소수자 교사에 관한 미디어 담론 분석: 2000년대 이후 언론 보도 기사를 중심으로
- 혁신학교의 담론적 기원과 전개: 전교조 ‘교육민주화’ 담론을 중심으로
- ‘조직 간 협력체제’를 활용한 ‘H지역혁신플랫폼사업’의 사례 분석*
- 학교폭력 제로센터의 운영 진단과 개선 방안 연구: K교육청을 중심으로
- 랜덤 포레스트와 SHAP을 활용한 대학 직원의 직무열의 결정요인 탐색: 조직혁신역량 관점에서
- 초등교사의 관계 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교사 소진과 전문성 개발 활동의 차이
- 고등학생의 공동체의식 잠재 프로파일 분석: 자치・봉사활동 경험과 민주적 학교문화의 영향 및 졸업 후 초기 성인기 시민의식과 사회참여 차이 검증
- 교육 정의의 새로운 논의 공간을 찾아서: ‘용’의 출현에서 인정의 확대로
- 학생자치활동을 통한 학생 목소리의 학교 반영 실행연구
- 코로나19 시기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 및 영향 요인 탐색
- 한국교육학의 분화와 제주교육학 등장의 의미 탐색
- 청소년기 창의성이 진로성숙도의 발달궤적에 미치는 동시효과와 지연효과: 진학 고등학교 유형별 차이
- 지방자치단체와 대학의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실증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