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소수자 교사에 관한 미디어 담론 분석: 2000년대 이후 언론 보도 기사를 중심으로
이용수 73
- 영문명
- A Media Discourse Analysis on LGBTQ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혜정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3권 제1호, 195~22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00년대 이후 학교교육에서 성소수자 학생의 인권 보장을 위한 제도화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성소수자 교사는 여전히 비가시적인 존재인 것에 대한 문제제기의 하나로, 미디어 담론에 등장하는 성소수자 교사가 어떤 주체로 재현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한국사회에서 교사의 성 정체성을 둘러싼 정상성 논의는 어떠한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시기 일간지 등에 보도된 성소수자 교사 관련 기사들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미디어 담론에서 등장하는 성소수자 교사는 크게 두 유형으로 재현된다. 하나는 해외 성소수자교사 사례들로, 이들은 성적 행위나 몸의 특성으로 인하여 학교와 학생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주는 위협적인 존재로 재현된다. 이때 성소수자 교사들은 교사답지 못할 뿐 아니라 사람답지 않은 주체들로 이들은 학교교육을 둘러싼 지배적 젠더 질서의 인식가능성 범위 밖에 있다. 또 하나는 소수자 인권 문제의 프레임 안에서 성소수자 교사를 등장시키는 기사들이며, 이 교사들은 인권 문제의 당사자이자 기본적 권리를 보장받아야 할 주체로 상정된다. 이 기사들은 교사를 둘러싼 정상성 담론에 대한 대안적 지식 생성 역할을 한다. 한편, 같은 시기 성소수자 학생 관련 기사들은 이 학생들을 인권 보장의 대상으로 여기지만, 이때 교사는 비성소수자로 전제된다. 이런 맥락에서 성소수자 교사들을 가시화하고 시민이자 인권 주체로 재현하는 일련의 기사들은 교사다운 교사 범주 자체를 새롭게 생성하는 담론 형성의 힘을 갖는다. 이러한 연구의 분석 결과는 학교 현장과 담론장에서 성소수자 교사를 가시화하는 것의 의미를 재고하게 한다. 성소수자 교사 가시화는 이들의 인권 문제를 제기하는 것임과 동시에 교사 주체의 정상성을 구성하는 것은 무엇이며 그것은 타당한지에 대한 문제제기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LGBTQ teachers are represented in media discourse as a way of addressing the issue that, despite the institutionalisation of human rights for LGBTQ students in school education since the 2000s, LGBTQ teachers remain invisible. In doing so, we also sought to examine the normalcy debate surrounding the sexual identity of teachers in Korean society. To do this,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was conducted on articles about LGBTQ teachers published in daily newspapers during this perio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are two main types of representations of LGBTQ teachers in media discourse. One is the case of LGBTQ teachers abroad, who are represented as a threat that negatively affects schools and students because of their sexual behaviour or physical characteristics. In this case, LGBTQ teachers are regarded as not only not teachers, they are not people, and they are out of the intelligibility of the heteronormative gender order surrounding schooling. The second category of articles presents LGBTQ teachers in the frame of minority human rights issues, where they are presented as parties to human rights issues and as subjects who deserve to have their fundamental rights guaranteed. These articles serve as an alternative knowledge production to the discourse of normality surrounding teachers. On the other hand, articles about LGBTQ students during the same time period also present these students as subjects of human rights, but their teachers are assumed to be non-LGBTQ. In this context, a series of articles that make these teachers visible and represent them as citizens and human rights subjects has the power to shape discourse, creating a new category of teacher as a teac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vite us to reconsider what it means to make LGBTQ teachers visible in school practice and discourse. In addition to raising the issue of their human rights, the visualization of LGBTQ teachers can also question what constitutes normalcy and the legitimacy of the teacher subject.
목차
I. 문제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미디어 담론에서의 성소수자 교사 재현 특성과 의미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교사이론 형성의 가능성과 한계: 어느 한국 교사분야 연구자의 연구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성소수자 교사에 관한 미디어 담론 분석: 2000년대 이후 언론 보도 기사를 중심으로
- 혁신학교의 담론적 기원과 전개: 전교조 ‘교육민주화’ 담론을 중심으로
- ‘조직 간 협력체제’를 활용한 ‘H지역혁신플랫폼사업’의 사례 분석*
- 학교폭력 제로센터의 운영 진단과 개선 방안 연구: K교육청을 중심으로
- 랜덤 포레스트와 SHAP을 활용한 대학 직원의 직무열의 결정요인 탐색: 조직혁신역량 관점에서
- 초등교사의 관계 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교사 소진과 전문성 개발 활동의 차이
- 고등학생의 공동체의식 잠재 프로파일 분석: 자치・봉사활동 경험과 민주적 학교문화의 영향 및 졸업 후 초기 성인기 시민의식과 사회참여 차이 검증
- 교육 정의의 새로운 논의 공간을 찾아서: ‘용’의 출현에서 인정의 확대로
- 학생자치활동을 통한 학생 목소리의 학교 반영 실행연구
- 코로나19 시기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 및 영향 요인 탐색
- 한국교육학의 분화와 제주교육학 등장의 의미 탐색
- 청소년기 창의성이 진로성숙도의 발달궤적에 미치는 동시효과와 지연효과: 진학 고등학교 유형별 차이
- 지방자치단체와 대학의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실증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