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생의 공동체의식 잠재 프로파일 분석: 자치・봉사활동 경험과 민주적 학교문화의 영향 및 졸업 후 초기 성인기 시민의식과 사회참여 차이 검증
이용수 23
- 영문명
- Latent Profile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Sense of Community: Effects of School Experiences and Differences in Civic Outcomes in Early Adulthood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백예은 정혜원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3권 제1호, 323~35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공동체의식의 잠재 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자치・봉사 활동 경험과 민주적 학교문화가 잠재 프로파일 분류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공동체의식 잠재 프로파일에 따른 초기 성인기 시민의식과 사회참여의 차이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데이터의 8차(고등학교 3학년), 10차 시점의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의식의 하위요인(참여의식, 타인배려, 협력학습) 발달 특성에 따른 잠재 프로파일을 분류한 결과, 3개의 잠재 프로파일이 도출되었으며 세 집단 모두 타인배려, 참여의식, 협력학습 순으로 수준이 높게 나타나 각각을 ‘중간수준 집단’, ‘중상수준 집단’, ‘고수준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고등학교 시기의 자치・봉사활동 참여 경험과 민주적 학교문화를 공변인으로 투입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치활동 참여여부, 봉사활동 인식, 학생의견 반영정도가 모든 집단 간 분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당 공변인의 수준이 높을수록 공동체의식 수준이 높은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공동체의식 잠재 프로파일별 초기 성인기의 시민의식 및 사회참여 차이를 검증한 결과, 공동체의식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초기 성인기 시민의식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참여의 경우 유형에 따라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자원봉사와 선거, 항의・탄원 운동 서명, 온라인 글읽기・쓰기의 경우 공동체의식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참여 비율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그 외의 사회참여 유형의 경우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요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고등학교 시기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latent profiles of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explore the effects of self-governance and volunteer activity experiences as well as democratic school culture on profile classification, and examine differences in citizenship and social participation in adulthood based on latent profiles. Using data from the 2013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a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ree latent profil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ub-factors. All profiles were labeled as either “moderate-level group,” “moderate/high-level group,” or “high-level group.” Second, participation in self-governance activities, perceptions of volunteer activities, and the degree of student opinion reflec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profile classification. Higher levels of these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a greater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high-level group. Third, the high-level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citizenship in adulthood. For social participation, results varied by type: groups with higher levels of sense of community were more likely to engage in volunteering, voting, signing petitions or protests, and participating in online discussions,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other types of social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fostering a sense of community during high school.
목차
I.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교사이론 형성의 가능성과 한계: 어느 한국 교사분야 연구자의 연구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성소수자 교사에 관한 미디어 담론 분석: 2000년대 이후 언론 보도 기사를 중심으로
- 혁신학교의 담론적 기원과 전개: 전교조 ‘교육민주화’ 담론을 중심으로
- ‘조직 간 협력체제’를 활용한 ‘H지역혁신플랫폼사업’의 사례 분석*
- 학교폭력 제로센터의 운영 진단과 개선 방안 연구: K교육청을 중심으로
- 랜덤 포레스트와 SHAP을 활용한 대학 직원의 직무열의 결정요인 탐색: 조직혁신역량 관점에서
- 초등교사의 관계 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교사 소진과 전문성 개발 활동의 차이
- 고등학생의 공동체의식 잠재 프로파일 분석: 자치・봉사활동 경험과 민주적 학교문화의 영향 및 졸업 후 초기 성인기 시민의식과 사회참여 차이 검증
- 교육 정의의 새로운 논의 공간을 찾아서: ‘용’의 출현에서 인정의 확대로
- 학생자치활동을 통한 학생 목소리의 학교 반영 실행연구
- 코로나19 시기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 및 영향 요인 탐색
- 한국교육학의 분화와 제주교육학 등장의 의미 탐색
- 청소년기 창의성이 진로성숙도의 발달궤적에 미치는 동시효과와 지연효과: 진학 고등학교 유형별 차이
- 지방자치단체와 대학의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실증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