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랜덤 포레스트와 SHAP을 활용한 대학 직원의 직무열의 결정요인 탐색: 조직혁신역량 관점에서

이용수 36

영문명
Exploring Determinants of University Employees’ Work Engagement: Insights from Random Forest and SHAP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장창성 곽은주 배상훈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3권 제1호, 123~159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설명가능한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하여 대학 직원의 직무열의 결정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2022년 성균관대학교 교육과미래연구소의 대학혁신역량진단조사에 참여한 전국 4년제 대학 3,649명의 행정직원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랜덤 포레스트와 SHapley Additive Explanations(SHAP)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분석에 포함된 각 변수의 중요도와 부분 의존성 등을 확인함으로써 대학 직원의 직무열의 주요 결정요인 및 경향성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규직 직원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도 상위 요인으로 대학 공동체 의식, 조직 긍정성, 조직 자부심, 협업 문화, 조직학습, 의사소통 등이 도출되었다. 둘째, 비정규직의 경우 조직 자부심, 의사소통, 협업 문화, 대학 공동체 의식, 조직 혁신성, 절차적 공정성 등이 이들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도 상위 요인이었다. 셋째, 중요도 상위 결정요인과 직무열의 간의 관계는 대체로 정적인 상관을 보이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령인구 감소 등 최근 국내 고등교육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고 대학조직 효과성 및 성과 향상을 위한 선행요소로서 대학 직원의 직무열의 증진을 위한 정책적・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university employees’ work engagement using explainabl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2022 University Innovation Capacity Assessment, involving 3,649 respondents. Random forest and Shapley additive explanations (SHAP) algorithms were employed to assess feature importance and partial dependencies among factors. The findings reveal that, for full-time employees, community sense, organizational positivity, organizational pride, collaborative culture, organizational learning, and communication were the primary determinants of work engagement. For part-time employees, organizational pride, communication, collaborative culture, community sense,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nd procedural justice were decisive factors. Additionall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and work engagement were predominantly positive. Based on the findings, we provide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to enhance university employees’ work engagement, contributing to improved effectiveness and performance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목차

I. 서론
II. 문헌 검토
III.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창성,곽은주,배상훈. (2025).랜덤 포레스트와 SHAP을 활용한 대학 직원의 직무열의 결정요인 탐색: 조직혁신역량 관점에서. 교육학연구, 63 (1), 123-159

MLA

장창성,곽은주,배상훈. "랜덤 포레스트와 SHAP을 활용한 대학 직원의 직무열의 결정요인 탐색: 조직혁신역량 관점에서." 교육학연구, 63.1(2025): 123-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