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Diagnosi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Operation of the Zero-Center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Focusing on the K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선숙 최은영 박종효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3권 제1호, 57~8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안조사, 피해학생 지원, 가해학생 및 피해학생 관계개선을 돕기 위하여 설립된 학교폭력 제로센터의 운영 현황을 진단하고, 제로센터 운영에서의 문제점을 토대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K교육청 내 교육지원청 장학사(N=25)를 대상으로 제로센터 운영 현황에 관한 통계자료를 수집하였고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설문조사 및 주관식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분석결과를 기초로, 층화된 의도표집을 통해 제로센터의 업무담당자 9명을 대상으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면담조사를 실시하고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와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 분석결과, 제로센터는 학교폭력에 대한 학교의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한 반면에 학교폭력에 대한 학교의 교육적 대응과 노력을 위축시키는 부작용이 발생하였다. 특히 조사전담관이 도입되면서 조사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학교와 학생에 대한 이해 부족, 조사관의 업무 역량의 개인차 문제가 대두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별 맞춤형 연수 강화가 요구되었다. 피해학생의 통합적 치료 및 법률 지원은 부족한 상태로 여겨지며 관계회복에 대한 요구나 노력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가 수준에서 제로센터 운영에 필요한 인력 및 법률 전문가 등이 확충이 필요하며 학교의 학교폭력에 대한 교육적 책무성이 강화될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iagnoses the current operation of the Zero-Center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which offers case investigations, victim support, perpetrator―victim relationship improvement, and legal assistance for victims. It aims to identify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challenges identified in its operation. Statistical data on the Zero-Center’s activities were gathered from educational supervisors (N = 25) at regional education support offices under the K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dditionally, surveys and open-ended responses addressing operational challenges and potential improvements were analyzed. To further explore these issues, a stratified purposive sampling method was used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nine Zero-Center staff members responsible for various tasks.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Zero-Center has alleviated the burden on schools in managing school violence; however, it has also inadvertently suppressed schools’ educational responses and efforts. While the introduction of dedicated investigators improved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case examinations, challenges such as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schools and students, and disparities in investigators’ competencies were highlighted. The findings emphasize the need for customized training programs for investigators. Furthermore, comprehensive support for victims, including integrated treatment and legal assistance, remains insufficient, and efforts toward relationship restoration are relatively limited.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he study proposes expanding personnel, including legal experts, at the national level and enhancing schools’ educational accountability in addressing school violence.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교사이론 형성의 가능성과 한계: 어느 한국 교사분야 연구자의 연구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성소수자 교사에 관한 미디어 담론 분석: 2000년대 이후 언론 보도 기사를 중심으로
- 혁신학교의 담론적 기원과 전개: 전교조 ‘교육민주화’ 담론을 중심으로
- ‘조직 간 협력체제’를 활용한 ‘H지역혁신플랫폼사업’의 사례 분석*
- 학교폭력 제로센터의 운영 진단과 개선 방안 연구: K교육청을 중심으로
- 랜덤 포레스트와 SHAP을 활용한 대학 직원의 직무열의 결정요인 탐색: 조직혁신역량 관점에서
- 초등교사의 관계 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교사 소진과 전문성 개발 활동의 차이
- 고등학생의 공동체의식 잠재 프로파일 분석: 자치・봉사활동 경험과 민주적 학교문화의 영향 및 졸업 후 초기 성인기 시민의식과 사회참여 차이 검증
- 교육 정의의 새로운 논의 공간을 찾아서: ‘용’의 출현에서 인정의 확대로
- 학생자치활동을 통한 학생 목소리의 학교 반영 실행연구
- 코로나19 시기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 및 영향 요인 탐색
- 한국교육학의 분화와 제주교육학 등장의 의미 탐색
- 청소년기 창의성이 진로성숙도의 발달궤적에 미치는 동시효과와 지연효과: 진학 고등학교 유형별 차이
- 지방자치단체와 대학의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실증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