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Diversification of Korean Educational Studies and the Emergence of Jeju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신현석 선애경 정용주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3권 제1호, 353~389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교육학은 1953년 설립 이후 지속적인 분화를 통해 발전해 왔으며, 최근에는 지역적 특수성을 반영한 교육학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학의 분화 과정에서 나타난 제주교육학의 등장 배경과 의미를 탐구하고, 제주교육학이 독립된 학문으로 자리 잡아가는 과정에서 개념 정립과 이론적 토대 구축이 필요함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제주교육학을 탈식민주의적, 다원주의적, 생태학적, 세계체제론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하와이 및 오키나와 교육학과의 비교를 통해 제주교육학의 학문적・실제적 발전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제주교육학은 학술적 측면에서 제주의 역사적・문화적・생태적 자산을 반영한 독자적 연구 주제와 방법론을 발전시키고 있으며, 보편적 교육 담론과의 결합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하와이와 오키나와 사례 분석을 통해 제주교육학이 지역성과 보편성을 결합한 학문적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있음을 논의하였다. 실제적 측면에서는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맞춤형 교육 실천, 제주의 생태적・문화적 자원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교육 실현, 지역 교육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적 접근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제주교육학이 학문적으로 독립적인 체계를 형성하고, 한국교육학의 다양성을 확장하는 데 기여할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후속연구를 통해 제주교육학의 정체성을 더욱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Korean educational studies have evolved through continuous differentiation since 1953, with growing emphasis on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explores the emergence of Jeju educational studies, highlighting the need for conceptual clarity and a theoretical foundation. Analyzed through postcolonial, pluralistic, ecological, and world-systems perspectives, this study compares Jeju educational studies with those of Hawaii and Okinawa. Findings indicate that Jeju educational studies are shaping unique research topics and methodologies rooted in the region’s context while seeking integration into broader educational discourse. Comparisons with Hawaii and Okinawa suggest that Jeju educational studies can evolve into a paradigm balancing regional specificity with universal educational theories.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mmunity engagement and sustainable education, while underscoring Jeju educational studies’ role in expanding Korean educational diversity.
목차
I. 서론
Ⅱ. 한국교육학의 의미와 분화
Ⅲ. 학문의 지역 분화 현상의 이론적 이해
Ⅳ. 학문의 지역 분화 해외사례와의 비교
V. 결론: 제주교육학 태동의 학술적, 실제적 의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교사이론 형성의 가능성과 한계: 어느 한국 교사분야 연구자의 연구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성소수자 교사에 관한 미디어 담론 분석: 2000년대 이후 언론 보도 기사를 중심으로
- 혁신학교의 담론적 기원과 전개: 전교조 ‘교육민주화’ 담론을 중심으로
- ‘조직 간 협력체제’를 활용한 ‘H지역혁신플랫폼사업’의 사례 분석*
- 학교폭력 제로센터의 운영 진단과 개선 방안 연구: K교육청을 중심으로
- 랜덤 포레스트와 SHAP을 활용한 대학 직원의 직무열의 결정요인 탐색: 조직혁신역량 관점에서
- 초등교사의 관계 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교사 소진과 전문성 개발 활동의 차이
- 고등학생의 공동체의식 잠재 프로파일 분석: 자치・봉사활동 경험과 민주적 학교문화의 영향 및 졸업 후 초기 성인기 시민의식과 사회참여 차이 검증
- 교육 정의의 새로운 논의 공간을 찾아서: ‘용’의 출현에서 인정의 확대로
- 학생자치활동을 통한 학생 목소리의 학교 반영 실행연구
- 코로나19 시기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 및 영향 요인 탐색
- 한국교육학의 분화와 제주교육학 등장의 의미 탐색
- 청소년기 창의성이 진로성숙도의 발달궤적에 미치는 동시효과와 지연효과: 진학 고등학교 유형별 차이
- 지방자치단체와 대학의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실증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