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혁신학교의 담론적 기원과 전개: 전교조 ‘교육민주화’ 담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35

영문명
The Discursive Origins and Development of Innovative Schools: Focusing on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s Educational Democratiza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최상훈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3권 제1호, 1~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교조의 ‘교육민주화’ 담론이 혁신학교 담론의 형성과 전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교조의 교육담론은 ‘교육의 민주적 통제’, ‘민주주의를 위한 교육’, ‘교육기회의 민주적 배분’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특히 2000년대 초반 전교조 내부의 정체성 갈등으로 인해 ‘교육의 민주적 통제’를 중심으로 하는 노동운동 중심의 담론이 ‘민주주의를 위한 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참교육 담론’을 핵심으로 하는 교육운동 중심으로 전환되었다. 참교육 담론은 ‘학교붕괴’, ‘대안학교’ 담론과의 접합 및 ‘교육공공성’과 ‘학교자치’ 담론의 실천적 결과물을 수용하면서 대중적 지지를 획득하였고, 이는 2010년 진보교육감 당선이라는 정치적 성과로 이어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how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s (KTU) “educational democratization” discourse shaped innovative school discourse. KTU’s discourse evolved from a labor movement focus on “democratic control of education” to an educational movement emphasizing “education for democracy” through “true education” discourse. By integrating with “school collapse” and “alternative school” discourses, it gained public support, contributing to the election of progressive superintendents in 2010.

목차

I. 서론
Ⅱ. 혁신학교 담론의 기원
Ⅲ. 혁신학교 담론의 전개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상훈. (2025).혁신학교의 담론적 기원과 전개: 전교조 ‘교육민주화’ 담론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63 (1), 1-24

MLA

최상훈. "혁신학교의 담론적 기원과 전개: 전교조 ‘교육민주화’ 담론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63.1(2025): 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