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혁신학교의 담론적 기원과 전개: 전교조 ‘교육민주화’ 담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35
- 영문명
- The Discursive Origins and Development of Innovative Schools: Focusing on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s Educational Democratiz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최상훈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3권 제1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교조의 ‘교육민주화’ 담론이 혁신학교 담론의 형성과 전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교조의 교육담론은 ‘교육의 민주적 통제’, ‘민주주의를 위한 교육’, ‘교육기회의 민주적 배분’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특히 2000년대 초반 전교조 내부의 정체성 갈등으로 인해 ‘교육의 민주적 통제’를 중심으로 하는 노동운동 중심의 담론이 ‘민주주의를 위한 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참교육 담론’을 핵심으로 하는 교육운동 중심으로 전환되었다. 참교육 담론은 ‘학교붕괴’, ‘대안학교’ 담론과의 접합 및 ‘교육공공성’과 ‘학교자치’ 담론의 실천적 결과물을 수용하면서 대중적 지지를 획득하였고, 이는 2010년 진보교육감 당선이라는 정치적 성과로 이어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how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s (KTU) “educational democratization” discourse shaped innovative school discourse. KTU’s discourse evolved from a labor movement focus on “democratic control of education” to an educational movement emphasizing “education for democracy” through “true education” discourse. By integrating with “school collapse” and “alternative school” discourses, it gained public support, contributing to the election of progressive superintendents in 2010.
목차
I. 서론
Ⅱ. 혁신학교 담론의 기원
Ⅲ. 혁신학교 담론의 전개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교사이론 형성의 가능성과 한계: 어느 한국 교사분야 연구자의 연구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성소수자 교사에 관한 미디어 담론 분석: 2000년대 이후 언론 보도 기사를 중심으로
- 혁신학교의 담론적 기원과 전개: 전교조 ‘교육민주화’ 담론을 중심으로
- ‘조직 간 협력체제’를 활용한 ‘H지역혁신플랫폼사업’의 사례 분석*
- 학교폭력 제로센터의 운영 진단과 개선 방안 연구: K교육청을 중심으로
- 랜덤 포레스트와 SHAP을 활용한 대학 직원의 직무열의 결정요인 탐색: 조직혁신역량 관점에서
- 초등교사의 관계 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교사 소진과 전문성 개발 활동의 차이
- 고등학생의 공동체의식 잠재 프로파일 분석: 자치・봉사활동 경험과 민주적 학교문화의 영향 및 졸업 후 초기 성인기 시민의식과 사회참여 차이 검증
- 교육 정의의 새로운 논의 공간을 찾아서: ‘용’의 출현에서 인정의 확대로
- 학생자치활동을 통한 학생 목소리의 학교 반영 실행연구
- 코로나19 시기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 및 영향 요인 탐색
- 한국교육학의 분화와 제주교육학 등장의 의미 탐색
- 청소년기 창의성이 진로성숙도의 발달궤적에 미치는 동시효과와 지연효과: 진학 고등학교 유형별 차이
- 지방자치단체와 대학의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실증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