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린이 철학의 초등 도덕교육적 시사점 및 적용방안 연구

이용수 33

영문명
A Study on the Implications and Application of Children Philosophy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김완수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4권 제3호, 159~17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초등 도덕과에서는 2007 개정 시기부터 기존의 도덕교육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함께 철학교육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립맨과 매튜스로 대표되는 어린이 철학교육의 기본 이론을 탐색하면서 어린이 철학의 도덕교육적 시사점 및 구체적인 적용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어린이 철학의 도덕교육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도덕적 행위자로서 학생들의 위상에 대한 근본적 성찰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가르치는 교사의 역할에 대한 재검토의 필요성을 제안하였고, 마지막으로는 어린이 철학을 초등학교 도덕교육에 적용할 때 체계적인 접근과 비체계적인 접근 모두가 필요하다는 점을 들었다. 이를 바탕으로 제시한 실제 적용사례에서는 탐구공동체를 위한 교실 내외적 환경구성 방안, 철학적 토론 방법의 다양화, 도덕 교과서의 재구성 등을 제안하면서 도덕과 교육 현장에서의 어린이 철학 안착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From the 2007 revision period, philosophy education was actively introduced along with a critical reflection on conventional mor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moral subject.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y of children philosophy education represented by M. Lipman and G. Matthews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moral education and specific application plans of children philosophy. The implications of moral education included fundamental reflection on the status of students, a review of teachers’ role, and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methods. Examples of applying children philosophy include the composition of the environment for the inquiry community, diversification of discussion methods, and reconstruction of moral textbook.

목차

Ⅰ. 서 론
Ⅱ. 어린이 철학교육의 특징
Ⅲ. 초등 도덕과 교육과 어린이 철학
Ⅳ. 어린이 철학의 초등 도덕과 적용 방안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완수. (2024).어린이 철학의 초등 도덕교육적 시사점 및 적용방안 연구. 교육논총, 44 (3), 159-172

MLA

김완수. "어린이 철학의 초등 도덕교육적 시사점 및 적용방안 연구." 교육논총, 44.3(2024): 159-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