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폭력의 교육적 해결에 대한 초등교원 요구 분석
이용수 124
- 영문명
- A Needs Analysis of Educational Solutions to School Violence: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장수연 장선희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4권 제3호, 107~12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폭력의 교육적 해결에 대한 교원의 요구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 교원 중 학교폭력 담당 교사를 포함하여 학교폭력 전담기구의 구성원 및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의 위원 참여 경험이 있는 교원 594명을 대상으로, 학교폭력의 사전예방 단계부터 사안 발생 시 처리 단계, 사안 종결 후 사후 조치에 이르기까지 전(全) 과정에 적용되는 교육적 해결 방안에 관해 중요도와 현재 시행 수준에 대한 인식인 보유도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정책에 대한 교원의 요구를 교차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교원들은 학교폭력의 교육적 해결을 위한 과제들이 대체로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나 현재 학교 현장에서 잘 시행되지 않는다고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어 중요도와 현재 시행 수준에 대한 인식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구도 분석을 시행한 결과, 교원의 정책 요구가 높은 과제는 10개가 도출되었으며, 학교에서 학교폭력의 교육적 해결을 강화시키기 위해 가장 시급히 요구되는 최우선과제는 ‘담임교사의 생활지도 권한 강화’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관계회복과 교육적 해결 인식의 확산을 위한 학부모 교육 실시’, ‘전문상담(교)사 및 위(Wee)클래스 확충’, ‘지역사회 및 전문기관과의 연계를 위한 가⋅피해 학생 회복 지원’, ‘외부 전문가와 연계한 교육지원청의 역할 확대’ 등이 우선으로 검토할 과제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교원 요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교폭력의 교육적 해결 실천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eachers’ needs for educational solutions to school violence, which is gaining attention as a new policy paradigm for school violence polici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594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who had participated in the Specialized School Violence Organization and School Violence Council (including teachers in charge of school violence). The survey was designed to assess the importance and retention of educational solutions applied to the entire process of school violence, starting from the pre-prevention step, through the handling step when a case occurs, and ending with the measures taken after the case was closed. The study utilized two analytical methods: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generally perceived the issue of educational solutions to school violence as important but negatively rated it as not being well implemented in current school settings,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s. Second, 10 issues with high policy needs from teachers were identified. “Strengthening the life guidance authority of homeroom teachers" was considered as the most urgent issue, followed by “providing parent’s education to restore relationships and expand awareness of educational solutions,” “expanding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 and ‘Wee’ class,” “supporting the recovery of students who are victims or aggressors in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expanding the role of the local departments of education in cooperation with outside exper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policy implications for expanding educational solutions for school violence were propo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Learning Implication of International Educational Volunteering Programmes in the Perspective of Teacher Education
- 운동 참여 의도-행동 불일치에 대한 동기와 건강 신념의 조절효과: 예비 초등 여교사를 대상으로
- 유치원 교사의 교권실행과 유아권리인식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STEAM 교육 콘텐츠 메타데이터 가이드라인 개발
- 역대 초⋅중학교 사회과 및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영역’의 의미
- 예비 초등영어 교사들의 교수경험에 따른 성찰 주제 및 성찰 수준 비교 분석
- 초등 예비교사교육자의 일상 속 스포츠 참여 경험과 의미
- 학교급 전환기 학교적응에 관한 종단적 변화 및 영향요인 탐색: 경기교육종단연구(GEPS)를 중심으로
- 일본 한글학교의 현황과 과제: 한글학교 교사 면접을 중심으로
- 학교폭력의 교육적 해결에 대한 초등교원 요구 분석
- 어린이 철학의 초등 도덕교육적 시사점 및 적용방안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