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운동 참여 의도-행동 불일치에 대한 동기와 건강 신념의 조절효과: 예비 초등 여교사를 대상으로

이용수 114

영문명
The Moderating Effect of Motivation and Health Belief on Exercise Participation Intention–behavior Gap: Targeting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Female Teachers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윤성준 안지훈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4권 제3호, 47~6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운동 참여 의도가 있음에도 실제 운동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현상인 ‘의도-행동 불일치’를 줄일 수 있는 심리적 변인으로 개인의 동기와 신념을 강조하기 위해, 운동 참여 의도와 실제 운동 행동 간의 관계에서 동기와 신념의 조절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과 경기도 소재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초등 여교사 1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주간 운동 빈도, 운동 참여 의도, 자결성 동기, 그리고 건강신념모델 중 ‘지각된 혜택’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 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위계적 휘귀분석을 통해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수행한 결과, 운동 참여 의도, 자율적 동기, 통제적 동기, 지각된 혜택, 과거의 운동 빈도는 현재의 운동빈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자율적 동기와 지각된 혜택이 현재의 운동 빈도 수준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이 검증되었으며, 운동 참여 의도와 운동 빈도 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운동에 대한 자율적 동기와 운동의 혜택 지각이 운동 실천과 지속을 위한 의미 있는 심리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예비 교사 교육의 방향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statistically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motivation and belief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participation intention and actual exercise behavior in order to emphasize individual motivation and belief as a psychological variable that can reduce the “intention–behavior gap,” a phenomenon that does not lead to actual exercise behavior despite having an intention to participate in exercis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wice on 141 femal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ending educational universities in Incheon or Gyeonggi-do to measure the weekly exercise frequency, exercise participation intention, 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perceived benefit” in the health belief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exercise participation intention, autonomous motivation, controlled motivation, perceived benefit, and past exercise frequency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urrent exercise frequency. Moreover, autonomous motivation and perceived benefit were verifi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urrent level of exercise frequency and were variables that positively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participation intention and exercise frequency. This study confirmed that autonomous motivation for exercise and perception of the benefits of exercise are meaningful psychological factors for exercise practice and adherence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discussing the direction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성준,안지훈. (2024).운동 참여 의도-행동 불일치에 대한 동기와 건강 신념의 조절효과: 예비 초등 여교사를 대상으로. 교육논총, 44 (3), 47-61

MLA

윤성준,안지훈. "운동 참여 의도-행동 불일치에 대한 동기와 건강 신념의 조절효과: 예비 초등 여교사를 대상으로." 교육논총, 44.3(2024): 47-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