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TEAM 교육 콘텐츠 메타데이터 가이드라인 개발

이용수 83

영문명
Development of Guideline for Metadata of STEAM Educational Contents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임희준 유지연 이윤수 이정림 홍미영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4권 제3호, 77~9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STEAM 교육 콘텐츠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검색하기 위한 STEAM 교육 콘텐츠 메타데이터 가이드라인을 연구⋅개발하였다. STEAM 교육 및 메타데이터 가이드라인에 대한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메타데이터 가이드라인 초안을 개발하고, 전문가의 의견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뿐 아니라 융합교육(STEAM)의 특징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요소들이 메타데이터로 포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검토 및 수정 작업이 이루어졌다. 주요 수정 사항으로는 메타데이터의 단위 일관성, 항목의 명확성, 사용 편의성, 세부 항목 정의 명확화 및 용어 간소화 등이 포함된다. 최종적으로 각 영역의 세부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속성과 설명이 개발되었으며, 전문가 검토 및 델파이 조사를 통해 수정⋅보완하여 메타데이터의 항목을 최종 확정하였다. 개발된 STEAM 교육 콘텐츠 메타데이터는 ‘기본정보’, ‘STEAM 내용정보’, ‘학습활동정보’, ‘자료정보’, ‘권한정보’의 다섯 개 주요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기본정보’는 식별코드, 제목, 차시 수, 개요, 주제어, 해시태그, 이용 대상, 개발기관, 난이도에 대한 기본정보를 포함한다. ‘STEAM 내용정보’는 STEAM 지식, 과정, 태도 및 관련 교육과정 정보를 다룬다. ‘학습활동정보’는 STEAM 역량 목표 유형과 주제분야, 활동유형, 교수학습방법, 산출물 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자료정보’는 언어, 개발연도, 자료유형과 보조자료유형, 하드웨어운영환경, 웹사이트, 사업명과 상품명을 포함한다. ‘권한정보’는 콘텐츠의 개발자, 저작권자, 접근권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이는 콘텐츠 개발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STEAM 교육 콘텐츠의 관리와 활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metadata guidelines for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STEAM) education content to comprehensively manage and search STEAM education resource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of STEAM education and metadata guidelines, draft metadata guidelines were created. Then, expert opinions were incorporated to include metadata elements that represent STEAM education characteristics and general program information. The key revisions focused on ensuring consistency in metadata units, clarifying items, improving usability, defining detailed items more clearly, and simplifying terminology. Ultimately, specific attributes and descriptions for detailed items in each category were developed, and metadata items were finalized through expert review and Delphi surveys. The developed STEAM education metadata are categorized into five major areas: “Basic Information,” “STEAM Content Information,” “Learning Activity Information,” “Resource Information,” and “Rights Information.” “Basic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codes, title, number of sessions, overview, keywords, hashtags, target audience, development organization, and difficulty level. “STEAM Content Information” covers STEAM knowledge, processes, attitudes, and related curriculum information. “Learning Activity Information” includes details on STEAM competency goals, subject areas, activity type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output types. “Resource Information” encompasses language, development year, resource types, supplementary resource types, hardware operating environment, websites, project names, and product names. “Rights Information” indicates the developer, copyright holder, and access rights of the content. These metadata are expected to support more effectiv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STEAM education content for developers and us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I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희준,유지연,이윤수,이정림,홍미영. (2024).STEAM 교육 콘텐츠 메타데이터 가이드라인 개발. 교육논총, 44 (3), 77-92

MLA

임희준,유지연,이윤수,이정림,홍미영. "STEAM 교육 콘텐츠 메타데이터 가이드라인 개발." 교육논총, 44.3(2024): 77-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