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교사의 교권실행과 유아권리인식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6
-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Exercise of Kindergarten Teachers' Rights and the Recognition of Children's Rights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다혜 장영숙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4권 제3호, 63~7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교권실행과 유아권리인식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 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교권실행은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권리인식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교권실행과 유아권리인식,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교권실행과 유아권리인식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권리인식의 하위변인인 의사표현의 자유와 참여의 권리가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유아권리인식의 생명 존중⋅돌봄 받을 권리, 적합한 발달을 지원받을 권리, 교권실행의 신분⋅재산상의 교권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교권실행과 유아권리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xercising kindergarten teachers’ rights and recognizing children’s rights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20 teachers from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9.0.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exercising kindergarten teachers’ rights was somewhat higher than the intermediate level, and recognizing children’s right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were high. Seco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exercising kindergarten teachers’ rights, recognizing children’s right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Third,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right to participation, which is the sub-factor of recognizing children’s rights,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Following this, the right to survival and care, right to appropriate developmental support, and teacher’s right to status and property also had sequentially significant effec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arious strategies to enhance teachers’ rights and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Learning Implication of International Educational Volunteering Programmes in the Perspective of Teacher Education
- 운동 참여 의도-행동 불일치에 대한 동기와 건강 신념의 조절효과: 예비 초등 여교사를 대상으로
- 유치원 교사의 교권실행과 유아권리인식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STEAM 교육 콘텐츠 메타데이터 가이드라인 개발
- 역대 초⋅중학교 사회과 및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영역’의 의미
- 예비 초등영어 교사들의 교수경험에 따른 성찰 주제 및 성찰 수준 비교 분석
- 초등 예비교사교육자의 일상 속 스포츠 참여 경험과 의미
- 학교급 전환기 학교적응에 관한 종단적 변화 및 영향요인 탐색: 경기교육종단연구(GEPS)를 중심으로
- 일본 한글학교의 현황과 과제: 한글학교 교사 면접을 중심으로
- 학교폭력의 교육적 해결에 대한 초등교원 요구 분석
- 어린이 철학의 초등 도덕교육적 시사점 및 적용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논총 제39집 목차
- 재한 중국 유학생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학생의 심리적 독립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진로정체감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매개로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