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 초등영어 교사들의 교수경험에 따른 성찰 주제 및 성찰 수준 비교 분석

이용수 18

영문명
An Analysis of Topics and Levels of Reflection on Micro-Teaching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박영예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4권 제3호, 15~3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 초등영어 교사들이 수업실연 후 3학년 때 작성한 성찰일지와 4학년 때 작성한 성찰일지를 비교해 봄으로써 교수 경험에 따라 성찰의 주제와 수준에서 어떤 변화와 특징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의 교수경험은 성찰 주제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예비교사들은 3학년에서는 학습자에 대한 성찰을 가장 많이 한 반면, 교수경험이 어느 정도 쌓인 4학년에서는 자신들이 가르친 학습활동에 가장 초점을 맞춰 성찰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의 교수경험에 따라 상위 네 개의 성찰 주제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특징이 있었다. 3학년에서 작성한 성찰 내용은 학습자 > 상호작용, 교실영어 > 수업전략의 순으로 성찰이 많이 이루어진 특징이 있었던 반면, 4학년에서는 활동구성 > 수업전략 > 상호작용 > 교실영어(언어적)의 순으로 성찰이 많이 이루어진 특징을 나타냈다. 셋째, 예비교사들의 교수경험은 성찰 수준의 변화와 관련이 높지 않았다. 예비교사들은 교수경험이 축적된 4학년에서도 3학년 때와 동일하게 기술적 성찰을 가장 많이 하였으며, 비판적 사고를 통해 성찰하는 비판적 성찰의 비율은 여전히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예비교사들의 교수경험에 따라 각 성찰 수준별 비율이 가장 높은 성찰 주제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기술적 성찰의 경우 3학년에서는 교실영어, 4학년에서는 활동구성에 대한 성찰을 가장 많이 하였지만, 비교 성찰의 경우 3학년에서는 상호작용, 4학년에서는 수업전략에 대한 성찰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비판적 성찰은 3학년과 4학년 모두 수업실연에 대한 성찰이 가장 많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the topics and levels of reflection among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by comparing their reflection journals written in their third and fourth years after conducting micro-teaching.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teaching experience of pre-service teachers was closely related to changes in reflection topics. Pre-service teachers primarily reflected on learners in their third year, whereas they focused more on learning activities in their fourth year. Second, notable differences in the top four reflection topics were observed based on teaching experience. Third-year reflections centered on learners, interaction, classroom English, and teaching strategies, whereas fourth-year reflections focused on activity organization, teaching strategies, interaction, and classroom English. Third, teaching experie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levels of reflection. Pre-service teachers mainly engaged in descriptive reflection in their third and fourth years, with critical reflection remaining the least frequent. Fourth, differences emerged in the most addressed reflection topics at each reflection level based on teaching experience. Descriptive reflection focused on classroom English in the third year and on activity organization in the fourth year. Comparative reflection emphasized interaction in the third year and teaching strategies in the fourth year, whereas critical reflection predominantly centered on teaching demonstrations in both year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영예. (2024).예비 초등영어 교사들의 교수경험에 따른 성찰 주제 및 성찰 수준 비교 분석. 교육논총, 44 (3), 15-30

MLA

박영예. "예비 초등영어 교사들의 교수경험에 따른 성찰 주제 및 성찰 수준 비교 분석." 교육논총, 44.3(2024): 15-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