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예비교사교육자의 일상 속 스포츠 참여 경험과 의미
이용수 26
- 영문명
- Experience and Meaning of Sports in the Daily Liv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 Educators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고문수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4권 제3호, 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교육자의 일상 속 스포츠 참여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스포츠 활동에 참여한 연구자 자신이다. 자료는 연구자가 운동 후 기록으로 남긴 테니스와 골프 일지를 토대로 수집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Spradley(1979)의 영역분석과 분류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스포츠 참여 경험과 의미는 신체적 측면에서 움직임 수행 능력과 건강 증진, 인지적 측면에서 스포츠를 바라보는 시선의 확장, 정서적 측면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범주화되었다. 구체적으로 움직임 수행 능력과 건강 증진은 기본 움직임 기능 익히기, 상황과 맥락에 맞는 신체 움직임 갖기, 건강과 체력 증진 등으로 분류되었다. 스포츠를 바라보는 시선의 확장은 판단력과 문제해결능력의 신장, 스포츠에 대한 관점 확장하기, 스포츠의 가치 경험하기 등으로 분류되었다.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상호작용은 자기동기력과 자기 조절력 갖기, 타인과 협력하는 마음가짐과 태도, 마음의 근육인 그릿 갖기 등으로 분류되었다. 스포츠 활동을 통한 성장과 변화에서는 건강과 체력 증진, 스포츠 활동에 관한 이해와 안목 그리고 긍정적⋅사회적 상호작용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sports participation in the daily liv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 educators. The participants are the researchers who participated in sports activ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researcher’s tennis and golf diaries and analyzed using the domain and classification analysis methods proposed by Spradley (1979).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sports participation were categorized into movement performance ability and health improvement, expansion of sports perspectives, positive emotions, and social interaction. Looking at the categorized contents in detail, movement performance ability and health improvement were classified into learning basic movement skills, having body movements that are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and context, and improving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The expansion of sports perspectives was categorized into increasing judgment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expanding sports perspectives, and experiencing the value of sports. Positive emotions and social interaction were classified into having self-motivation and self-control, cultivating a cooperative attitude with others, and having grit (the muscle of the mind). Growth and change through sports activities discussed the promotion of health and physical fitness, understanding and perspective on sports activities, and positive social interac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스포츠 활동을 통한 성장과 변화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Learning Implication of International Educational Volunteering Programmes in the Perspective of Teacher Education
- 운동 참여 의도-행동 불일치에 대한 동기와 건강 신념의 조절효과: 예비 초등 여교사를 대상으로
- 유치원 교사의 교권실행과 유아권리인식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STEAM 교육 콘텐츠 메타데이터 가이드라인 개발
- 역대 초⋅중학교 사회과 및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영역’의 의미
- 예비 초등영어 교사들의 교수경험에 따른 성찰 주제 및 성찰 수준 비교 분석
- 초등 예비교사교육자의 일상 속 스포츠 참여 경험과 의미
- 학교급 전환기 학교적응에 관한 종단적 변화 및 영향요인 탐색: 경기교육종단연구(GEPS)를 중심으로
- 일본 한글학교의 현황과 과제: 한글학교 교사 면접을 중심으로
- 학교폭력의 교육적 해결에 대한 초등교원 요구 분석
- 어린이 철학의 초등 도덕교육적 시사점 및 적용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