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을 위한 온라인 마음챙김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이용수 168
- 영문명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n online mindfulness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권영웅 채수은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6권 제2호, 51~7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을 위한 온라인 마음챙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 연구 후 전문가의 검증과 자문, 참여자의 피드백을 통해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양적연구는 G시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9명, 통제집단 2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집단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우울’과 ‘상태불안’, ‘마음챙김 주의 알아차림’, ‘심리적 안녕감’ 척도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두 집단 간 사후점수에 대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질적연구는 온라인 마음챙김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회기별 소감문과 프로그램 참여자 중 포커스그룹인터뷰 요청에 승낙한 9명의 인터뷰를 통해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
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마음챙김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은 참여하지 않은 대학생과 비교하여 ‘우울’과 ‘상태불안’은 유의미하게 낮아지고 ‘마음챙김 주의 알아차림’과 ‘심리적 안녕감’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질적연구 결과 참여자는 ‘자각과 자기이해’와 ‘관조적 시선’, ‘인식의 전환’의 변화과정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마음챙김 프로그램의 온라인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그 변화과정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생을 위한 온라인 심리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대학생 마음건강 증진을 위한 방안이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test the effectiveness of an online mindfulness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In this study, after preliminary research, the final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expert verification and consultation, and participant feedback. The quant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in G City, and 29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 people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study.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sessional impressions from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mindfulness program and interviews with nine program participants who agreed to the request for a focus group interview.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compared to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mindfulness program, ‘depression’ and ‘state anxiety’ were significantly lower, and ‘mindfulness attention aware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college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a change process of ‘awareness and self-understanding’, ‘contemplative gaze’, and ‘transformation of percep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a mindfulness program online and explores the change proces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lead to the development of an online psychotherapy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and a plan to improve university students' mental healt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남녀 청소년 진로성숙도 변화 및 예측요인 검증
- 위계선형모형을 활용한 소규모 이공계 대학의 강의만족도 분석
- 중학생의 디지털 기기 활용에 대한 자기조절 인식과 경험 연구
- 대학생을 위한 온라인 마음챙김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초등교사가 느끼는 행정업무부담과 교사소진의 관계분석
- 대학생 학습역량 검사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 민주시민교육, 다문화교육, 평화교육을 통해 본 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
- 예비-현직교사 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관계자 대상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 대학 입학전형 평가 요소와 핵심역량 지표의 관계 분석
- 스토리텔링 기반 유아 탄소중립 교육프로그램 개발
- 치의학교육에서 학생들의 유비쿼터스기반시험(UBT)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북한이탈 대학생의 학업중단 경험에 대한 탐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