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민주시민교육, 다문화교육, 평화교육을 통해 본 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
이용수 198
- 영문명
- Direction and Tasks of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Peace Education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오덕열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6권 제2호, 197~23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국내 정치적 상황과 복잡하게 얽혀 있는 통일교육의 미래 지향적 변화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통일교육의 흐름을 살펴본 후 민주시민교육, 다문화교육, 평화교육의 현재와 논의점을 검토한 뒤, 통일교육과의 접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요소들을 선정하여 향후 과제를 모색하였다. 현재도 통일교육과 다양한 대화를 시도하고 있는 민주시민교육, 다문화교육, 평화교육은 태동기 이후 많은 변화를 추구해 왔다. 세 분야의 인접학문들은 각각 민주시민성, 문화다양성, 평화 자질 등의 요소들을 강조하며 영역을 확장해 나갔고, 이러한 요소들이 통일교육과 만나게 되면서 새로운 과제들을 형성하고 있다. 통일교육은 향후 다양한 생각들을 할 수 있게 학습자들의 주체적 역량을 기르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교육 목표를 지적 영역에서 정의적・실천적 영역으로 전환해야 한다. 그리고 특정 대상을 분석하는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나’부터 변화하는 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중앙 집권적 교육 구조에서 벗어나 지역 특색이 살아나는 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future-oriented change in unification education, which is intricately intertwined with domestic political situations. To this end, after examining the flow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present and discussion poi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peace education were reviewed, factors that could be identified through the contact point with unification education were selected to explore future tasks. Since the dawn of tim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peace education, which still attempt various conversations with unification education, have undergone many changes. Adjacent studies in the three fields have expanded their scope by emphasizing factors such as democratic citizenship, cultural diversity, and peace qualities, respectively, and as these factors meet with unification education, new tasks are formed.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an education that fosters learners' independent capabilities so that they can think differently in the future. Next, educational goals must be shifted from the intellectual domain to the definitional and practical domain. And we must break away from the paradigm of analyzing specific objects and move toward an education that changes from ‘me’. Lastly, we must move away from the centralized education structure and transition to education that preserves regional characteristic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통일교육의 과거와 현재
Ⅲ. 민주시민교육, 다문화교육, 평화교육의 흐름
Ⅳ. 민주시민교육, 다문화교육, 평화교육의 논의점을 통해 본 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
Ⅴ.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남녀 청소년 진로성숙도 변화 및 예측요인 검증
- 위계선형모형을 활용한 소규모 이공계 대학의 강의만족도 분석
- 중학생의 디지털 기기 활용에 대한 자기조절 인식과 경험 연구
- 대학생을 위한 온라인 마음챙김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초등교사가 느끼는 행정업무부담과 교사소진의 관계분석
- 대학생 학습역량 검사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 민주시민교육, 다문화교육, 평화교육을 통해 본 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
- 예비-현직교사 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관계자 대상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 대학 입학전형 평가 요소와 핵심역량 지표의 관계 분석
- 스토리텔링 기반 유아 탄소중립 교육프로그램 개발
- 치의학교육에서 학생들의 유비쿼터스기반시험(UBT)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북한이탈 대학생의 학업중단 경험에 대한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