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 대학생의 학업중단 경험에 대한 탐구
이용수 130
- 영문명
-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Dropouts among North Korean Defector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보미 이정민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6권 제2호, 257~28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이탈 대학생의 학업중단 경험을 탐구하여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양상과 경험의 의미를 맥락적으로 이해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업중단 경험이 있는 북한이탈 대학생 4명을 편의 표집과 눈덩이 표집을 통해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비구조화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현상학적 분석 방법인 Colaizzi의 6단계 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 북한이탈 대학생들은 자기이해와 진로정보가 부족한 상황에서 비자기주도적으로 대학 진학을 결정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로 인한 진로적성의 불일치와 대학에서의 학업 수행과 사회적 관계 형성에 대한 낯설음이 학업중단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양상을 바탕으로 분석하였을 때, 연구 참여자들의 학업중단 경험은 ‘타인이 재단한 맞지 않는 옷 벗어 던지기’와 ‘낯설음의 긴장으로부터 숨 돌리기’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 청소년에게 맞춤화된 진로교육의 필요성 및 사회적 지지망의 체계화 그리고 목표의식을 수반한 대학 진학 지원 제도의 활용과 입체적인 심리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점을 다루고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North Korean defector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dropped their studies, seeking to understand the patterns and meanings of these experiences within their context. For this purpose, four North Korean defector university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study dropou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unstructured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following a six-step procedure.
The analysis revealed that North Korean defector university students often decide to enter the university in a non-self-directed manner due to the lack of self-understanding and career information. This leads to mismatches in career suitability and difficulties in academic performance and social integration at university, ultimately resulting in study dropouts. Based on this analysis, the experience of study dropouts among the participants was metaphorically conceptualized as “throwing away ill-fitting clothes made by others” and “catching one's breath from tension due to unfamiliarity.”
Drawing from thes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the necessity for tailored career educ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 yout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ocial support networks, and the utilization of university admission support systems that incorporate goal-setting. Additionally, it emphasizes the need for comprehensive psychological support to address the multifaceted challenges faced by these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남녀 청소년 진로성숙도 변화 및 예측요인 검증
- 위계선형모형을 활용한 소규모 이공계 대학의 강의만족도 분석
- 중학생의 디지털 기기 활용에 대한 자기조절 인식과 경험 연구
- 대학생을 위한 온라인 마음챙김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초등교사가 느끼는 행정업무부담과 교사소진의 관계분석
- 대학생 학습역량 검사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 민주시민교육, 다문화교육, 평화교육을 통해 본 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
- 예비-현직교사 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관계자 대상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 대학 입학전형 평가 요소와 핵심역량 지표의 관계 분석
- 스토리텔링 기반 유아 탄소중립 교육프로그램 개발
- 치의학교육에서 학생들의 유비쿼터스기반시험(UBT)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북한이탈 대학생의 학업중단 경험에 대한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