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교사가 느끼는 행정업무부담과 교사소진의 관계분석
이용수 232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administrative burden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burnout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신혜숙 박주형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6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가 느끼는 행정업무부담과 교사소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최근 일련의 교권침해 사건으로 인해 초등교사의 교직에 대한 실망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교사소진과 교사의 행정업무부담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원종단연구2020의 1차년도 초등교사 자료를 바탕으로 기초분석과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적용하여 행정업무부담감과 초등교사의 소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행정업무부담이 높을수록 교사소진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는 다른 변수의 영향을 고려한 이후에도 유의미하였다. 이 외에 교직경력이 높고 교사효능감이나 내재적 동기 및 교직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사소진이 낮은 경향이 있었다. 학교특성 중에서는 학교규모와 학생일탈 정도, 자율성,관계갈등 등이 교사소진과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최근 교사의 직무이탈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배경에서, 교사소진의 실태와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소진을 완화하고 교사들이 수업 및 교육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여러 정책적 지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ministrative burden felt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eacher burnout. In a situation whe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sappointment with their teaching profession is increasing due to a series of recent teaching rights viol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burnout and teachers' administrative workload. Based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data from the 1st year of the Seoul Teacher Longitudinal Study 2020,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administrative burden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burnout by applying basic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eacher burnout tended to be higher with higher administrative burden, which remained significant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other variables. In addition, teacher burnout tended to be lower among teachers with mor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higher levels of teacher efficacy, intrinsic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Among school characteristics, school size, student deviation, autonomy, and relationship conflic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eacher burnout. As teacher turnover has become a social problem in recent yea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policy support to alleviate teacher burnout and help teachers focus on teaching and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actuality and influencing factors of teacher burnou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남녀 청소년 진로성숙도 변화 및 예측요인 검증
- 위계선형모형을 활용한 소규모 이공계 대학의 강의만족도 분석
- 중학생의 디지털 기기 활용에 대한 자기조절 인식과 경험 연구
- 대학생을 위한 온라인 마음챙김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초등교사가 느끼는 행정업무부담과 교사소진의 관계분석
- 대학생 학습역량 검사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 민주시민교육, 다문화교육, 평화교육을 통해 본 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
- 예비-현직교사 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관계자 대상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 대학 입학전형 평가 요소와 핵심역량 지표의 관계 분석
- 스토리텔링 기반 유아 탄소중립 교육프로그램 개발
- 치의학교육에서 학생들의 유비쿼터스기반시험(UBT)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북한이탈 대학생의 학업중단 경험에 대한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대체가능성 논변과 쾌락의 개별성 문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