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Regulation Perception and Experience in Using Digital Devices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도재우 김수진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6권 제2호, 287~30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등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정책에 따라 학생들의 디지털 기기 활용이 급속히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디지털 기기의 건강한 활용을 위한 학생들의 자기조절 역량 강화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이 연구는 중학생의 디지털 기기 활용에 대한 자기조절 인식과 경험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중학생들이 디지털 기기 활용 수준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와 사용하고 있는 조절 전략을 탐색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사례연구를 연구방법으로 선정하여 중학교 1학년 학생 28명의 디지털 기기 활용에 있어 자기조절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심층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학생들은 자신의 디지털 기기 활용 수준을 평가함에 있어 활용 시간보다는 자신이 설정한 활용 행동 원칙의 준수 여부를 더 중요한 기준으로 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들은 학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디지털 기기 사용을 조절하기 위해 물리적 거리두기, 방해가 되는 어플리케이션 삭제, 자기조절 다짐, 가족의 도움 등 다양한 실천 전략을 활용하고 있었다. 셋째, 중학생들의 디지털 기기 활용 조절에는 학생 스스로의 자발적 조절 전략과 부모 등 외부 주체에 의한 타율적 조절 전략이 함께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가 도출한 결과는 디지털 기기 활용이 촉진되고 있는 미래 교육에서 중학생들의 디지털 기기 활용에 대한 자기조절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지도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As the use of digital devices by students is expected to rapidly spread due to educational innovation policies based on digital technology, such as the introduction of AI digital textbooks, strengthening students' self-regulation competency for healthy use of digital devices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ev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self-regulation in digital device use. Specifically, it examined how middle school students evaluate their level of digital device use and explored the regulation strategies they employ.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case study method was selec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8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to investigate their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self-regulation in digital device use.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en evaluating their level of digital device use, middle school students considered adherence to self-set behavioral principles more important than the amount of time spent using devices. Second, students employed various practical strategies to regulate their digital device use to avoid interference with learning, including physical distancing, deleting distracting applications, making self-regulatory commitments, and seeking family assistanc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both voluntary self-regulation strategies by students themselves and externally imposed regulation strategies by parents or others were involved in middle school students' regulation of digital device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nd guiding self-regulation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digital device use in future education where digital device utilization is being promoted.
목차
Ⅰ. 서 론
Ⅱ. 디지털 기기 활용과 자기조절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남녀 청소년 진로성숙도 변화 및 예측요인 검증
- 위계선형모형을 활용한 소규모 이공계 대학의 강의만족도 분석
- 중학생의 디지털 기기 활용에 대한 자기조절 인식과 경험 연구
- 대학생을 위한 온라인 마음챙김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초등교사가 느끼는 행정업무부담과 교사소진의 관계분석
- 대학생 학습역량 검사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 민주시민교육, 다문화교육, 평화교육을 통해 본 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
- 예비-현직교사 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관계자 대상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 대학 입학전형 평가 요소와 핵심역량 지표의 관계 분석
- 스토리텔링 기반 유아 탄소중립 교육프로그램 개발
- 치의학교육에서 학생들의 유비쿼터스기반시험(UBT)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북한이탈 대학생의 학업중단 경험에 대한 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