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기 청소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일-양육 양립 시 이점 및 갈등에 대한 종단적 연구: 자기회귀교차지연(ACLM)과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 (APIM)의 적용
이용수 141
- 영문명
- Work-Parenting Gains and Strains for Dual-Earner Parents with Early Adolescent Children: Application of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CLM) and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신혜용 박지현 이강이 박유정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31권 제2호, 91~10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일-양육 양립에 대한 이점과 갈등 인식 수준이 종단적으로 본인과 배우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2차(초5) ~ 14차(중1)에서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취업 중인 부모 400쌍(800명)의 응답을 자기회귀교차지연
(ACLM)과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일-양육 양립 시 이점 인식은 부모 모두 중간값보다 높은 수준이었고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다소 낮았으며, 갈등인식은 부모 모두 중간값보다 낮은 수준이었고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다소 높았다. 둘째, 부모의 일-양육 양립 시 이점과 갈등 인식은 다음 해 본인의 인식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아버지의 일-양육 양립 시 이점 및 갈등 인식은 다음 해 어머니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어머니의 인식은 다음 해 아버지의 인식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맞벌이 부모가 각자 인식하는 일-양육 분담 정도가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며, 부부가 서로의 조력자로서 일과 양육의 지속적 균형을 맞춰갈 수 있도록 하는 의사소통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perceived gains and strains experienced by dual-earner parents with early adolescent children in balancing work and parenting have an impact not only on themselves but also on their spouses over time. Using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12th to 14th waves), involving 400 pairs of parents( 800 individuals) with both parents employed, responses were analyzed through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ACLM) and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First, the results revealed that perceptions of work-parenting gains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e medium for both parents, with mothers slightly lower than fathers, whereas perceptions of the strains were generally lower than medium for both parents, with mothers slightly higher than fathers. Second, the perceived gains and strains of parents in balancing work and parenting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own perceptions the following year. Third, while fathers' perceptions did not influence mothers' perceptions, mothers' perceptions had a positive impact on fathers' perceptions the following year.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cessity of communication support to facilitate dual- earner parents in maintaining a continual balance between work and childcare responsibilities as collaborative partners.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행복감에 대한 어머니의 권위주의적인 양육행동, 또래애착 및 학업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 또래애착과 학업스트레스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주의집중 문제가 또래관계를 통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공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부모진로지지가 대학생의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공만족도와 진로적응성의 이중매개효과
- 학령기 다문화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궤적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차별피해경험과 차별가해행동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및 지각된 인권존중의 조절된 매개효과
- 성인이행기 청년의 사회적 관계망 인식 및 독립의향과의 관계: 청년 삶 실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기본심리욕구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셜 미디어상의 사회적 지지에 의한 양육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코로나 시기 대학생의 애착 안정성: 성인애착 유형과 정서조절,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을 중심으로 한 단기 종단 연구
- 초기 청소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일-양육 양립 시 이점 및 갈등에 대한 종단적 연구: 자기회귀교차지연(ACLM)과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 (APIM)의 적용
- 중학생 대상 미디어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사례
- 유아 존댓말 사용 및 상호작용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해결중심상담자의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