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 시기 대학생의 애착 안정성: 성인애착 유형과 정서조절,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을 중심으로 한 단기 종단 연구
이용수 191
- 영문명
- Attachment Stability in College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on Adult Attachment Style, Emotion Regulation, and Maternal Emotional Availability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김성주 정윤경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31권 제2호, 39~5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애착이 전 생애에 걸쳐 비교적 안정적인 특성을 보이는 동시에 환경에 의해 변화 가능한 구조라는 점에서 애착 안정성의 메커니즘을 밝히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만 19세 ~24세) 113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유형과 정서조절,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의 관계를 알아보는 단기 종단 연구를 실시하였다. 코로나 팬데믹을 기점으로 2번의 시기에 걸쳐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대학생의 성인애착을 측정하고, 정서조절능력, 대인관계불편감, 그리고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과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 팬데믹 동안 성인애착 안정성을 유지하는 대학생 집단이 그렇지 않은 대학생 집단과 비교하여 낮은 대인관계 불안을 보고하였고, 높은 수준으로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애착의 안정성과 변화성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축적하고,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 하에 청년기 성인애착의 안정성을 종단 연구의 방법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Attachment theory focuses on relationships and bonds, particularly long-term. These early bonds, formed during the initial years of life, are not just transient but play a pivotal role in shaping the child's future emotional health and relationships, influencing attachments throughout life. The longitudinal stability of attachment styles, a pivotal aspect of attachment theory, has the potential to change over time as well. Consequently,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underlying assumptions.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examines the stability and change in attachment styles with a focus on college students(19 ~ 24 years old) using a short-term longitudinal method. Assessments included Adult Attachment Relationships (Questionnaire (RQ), Relationships Scales Questionnaire (RSQ)),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ERQ), Interaction Anxiousness Scale (IAS), and Lum Emotional Availability of Parents (LEAP) measure. The results demonstrated both stability and changes in adult attachment. More importantly, students who maintained a secure attachment style and those who transitioned from insecure attachment to secure attachment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maternal emotional availability when compared to those maintaining an insecure attachment style.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identify stability and change in college students' adult attachment and its relation to interpersonal functioning, and maternal emotional availabilit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행복감에 대한 어머니의 권위주의적인 양육행동, 또래애착 및 학업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 또래애착과 학업스트레스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주의집중 문제가 또래관계를 통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공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부모진로지지가 대학생의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공만족도와 진로적응성의 이중매개효과
- 학령기 다문화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궤적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차별피해경험과 차별가해행동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및 지각된 인권존중의 조절된 매개효과
- 성인이행기 청년의 사회적 관계망 인식 및 독립의향과의 관계: 청년 삶 실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기본심리욕구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셜 미디어상의 사회적 지지에 의한 양육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코로나 시기 대학생의 애착 안정성: 성인애착 유형과 정서조절,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을 중심으로 한 단기 종단 연구
- 초기 청소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일-양육 양립 시 이점 및 갈등에 대한 종단적 연구: 자기회귀교차지연(ACLM)과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 (APIM)의 적용
- 중학생 대상 미디어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사례
- 유아 존댓말 사용 및 상호작용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