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기본심리욕구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셜 미디어상의 사회적 지지에 의한 양육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264
- 영문명
- The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Mothers with Infants on Parenting Behavior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by Social Support on Social Media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오미라 민하영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31권 제2호, 127~14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기본심리욕구가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양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와 같은 매개관계가 소셜미디어상의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6개월 미만 자녀를 둔 304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서면과 온라인을 통해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의 단순 및 중회귀분석을 이용해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프로세스 매크로 모델 14번을 이용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기본심리욕구와 긍정적 양육행동 간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소셜미디어상의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미디어상의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을 때보다 낮을 때, 양육스트레스가 긍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부적 영향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기본심리욕구가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양육행동에 미치는 간접영향은 소셜미디어 상의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의 기본심리욕구가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양육행동에 미치는 간접영향이 소셜미디어상의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 증진을 위해 기본심리욕구와 양육스트레스 간 관계 관리 시, 인터넷 기반의 소셜미디어상의 사회적 지지 활용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how parenting stres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arenting behaviors in mothers with infants. The study also looks at how social support on social media might moderate this mediated relationship. To empirically verify a moderated mediation pathway, data were collected from 304 mothers of children under 3 years of age through paper questionnaires and online 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using simple regression, multiple regression, process macros model 14 and bootstrapping in IBM SPSS Statistics 22 for Windo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thers’s parenting str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arenting behaviors. Second, mothers' parenting stress on parenting behavior was moderated by social support on social media. Parenting stress had a greater negative effect on positive parenting behavior when the level of social support on social media was low rather than high. Third, mothers’ social support on social media positively moderated both paths of this mediated relationship. Depending on the level of social support on social media, the indirect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parenting behaviors through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use of Internet-based social support when manag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arenting stress in relation to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행복감에 대한 어머니의 권위주의적인 양육행동, 또래애착 및 학업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 또래애착과 학업스트레스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주의집중 문제가 또래관계를 통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공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부모진로지지가 대학생의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공만족도와 진로적응성의 이중매개효과
- 학령기 다문화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궤적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차별피해경험과 차별가해행동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및 지각된 인권존중의 조절된 매개효과
- 성인이행기 청년의 사회적 관계망 인식 및 독립의향과의 관계: 청년 삶 실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기본심리욕구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셜 미디어상의 사회적 지지에 의한 양육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코로나 시기 대학생의 애착 안정성: 성인애착 유형과 정서조절,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을 중심으로 한 단기 종단 연구
- 초기 청소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일-양육 양립 시 이점 및 갈등에 대한 종단적 연구: 자기회귀교차지연(ACLM)과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 (APIM)의 적용
- 중학생 대상 미디어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사례
- 유아 존댓말 사용 및 상호작용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