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이행기 청년의 사회적 관계망 인식 및 독립의향과의 관계: 청년 삶 실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301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Perception and Independence Intentions of Emerging Adults: Youth Life Survey Results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박은주 박정윤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31권 제2호, 57~7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인이행기 청년의 독립의향에 미치는 사회적 관계망 인식 요인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17개 시도의 19세 ~ 34세 청년 가구를 대상으로 한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 자료 중 부모 동거 남녀 청년 7,755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교차분석 및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들의 주요 도움의 원천은 가족이었고, 지인, 공공기관, 민간기관을 도움의 원천으로 인식하는 경향은 매우 낮아 청년 집단 전반에서 관계망 취약성이 나타났다. 둘째, 성별, 지역, 지역, 학력, 취업상태, 가구소득과 같은 청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선호 관계망 유형, 관계망 크기와 같은 사회적 관계망 인식 모두 독립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여성에 비해 남성이, 수도권에 비해 비수도권이, 비경제활동 집단에 비해 실업자 집단 및 취업자 집단이, 가구소득 1분위 집단이 4분위, 3분위, 2분위 집단에 비해, 관계망 크기가 큰 집단이 작은 집단에 비해 독립의향을 가질 가능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년의 사회적 관계망 인식이 독립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밝혀, 사회적 관계망 활용을 촉진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 및 전달체계가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social network perceptions on the independence intentions of emerging adults. D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on a sample of 7,755 young adults living with their parents, selected from the 2022 Youth Life Survey conducted among male and female young adults aged 19 to 34 in 17 provinces nationwide. The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 First, family was the primary source of assistance, and the perception of friends, public institutions, and private organizations was very low, indicating overall social network vulnerability among young adults. Second, soci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region, education, employment status, household income, as well as preferred social network sources and network siz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dependence intentions. Third, the probability of independence intention increased as the size of the social network increased. This study empirically highlights the influence of young adults' social network perceptions on independence intentions and discusses the need for more sophisticated institutional support and improved delivery systems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social networks.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행복감에 대한 어머니의 권위주의적인 양육행동, 또래애착 및 학업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 또래애착과 학업스트레스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주의집중 문제가 또래관계를 통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공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부모진로지지가 대학생의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공만족도와 진로적응성의 이중매개효과
- 학령기 다문화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궤적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차별피해경험과 차별가해행동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및 지각된 인권존중의 조절된 매개효과
- 성인이행기 청년의 사회적 관계망 인식 및 독립의향과의 관계: 청년 삶 실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기본심리욕구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셜 미디어상의 사회적 지지에 의한 양육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코로나 시기 대학생의 애착 안정성: 성인애착 유형과 정서조절,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을 중심으로 한 단기 종단 연구
- 초기 청소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일-양육 양립 시 이점 및 갈등에 대한 종단적 연구: 자기회귀교차지연(ACLM)과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 (APIM)의 적용
- 중학생 대상 미디어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사례
- 유아 존댓말 사용 및 상호작용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