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 존댓말 사용 및 상호작용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89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Honorifics Use and Interaction Scale for Preschoolers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최나야 정수지 최지수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31권 제2호, 143~15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존댓말 사용 능력과 유아 존댓말에 대한 부모의 신념, 지도, 훈육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먼저 유아 존댓말 발달 및 부모 존댓말 지도 분야의 문헌 검토, 연구진 논의, 내용타당도 및 안면타당도 검토를 통해 예비 문항을 개발하였다.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17명의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에게 예비 문항에 응답하도록 한 후, 척도의 구성 요인을 확인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존댓말 사용 및 상호작용 척도는 6개 요인(유아 존댓말 사용, 유아 인사말 사용, 유아 공손성, 부모 존댓말 신념, 부모 존댓말 지도, 부모 존댓말 훈육) 2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통계 분석을 통해 유아 존댓말 사용 및 상호작용 척도의 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 공인타당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척도는 이론적, 통계적으로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추었기에 우리나라 유아의 화용론 발달을 평가할 뿐 아니라 부모의 존댓말 신념, 지도, 훈육과 유아의 존댓말 사용 간 관계를 밝히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scale to measure South Korean preschoolers’ ability to use honorifics and parents’ belief, guidance, and discipline for preschoolers’ use of honorifics and to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We developed preliminary items through previous literature review, discussion among researchers, and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and face validity. After 317 mothers of preschooler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bout children’s honorifics use and their guidance, we identified constructs of the scale and verifi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wit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honorifics use and interaction scale for preschoolers consisted of 25 items under six constructs: preschoolers’ use of honorifics, preschoolers’ use of greetings, preschooler’s politeness, parents’ honorifics beliefs, parents’ honorifics guidance, and parents’ honorifics discipline. Second, we verified the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scale. In conclusion, as the developed scale was verified to have theoretical and statistical validity and reliability, this scale can be used to evaluate South Korean preschoolers’ pragmatic development and its relation with parents’ honorifics beliefs, guidance, and discipline.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행복감에 대한 어머니의 권위주의적인 양육행동, 또래애착 및 학업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 또래애착과 학업스트레스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주의집중 문제가 또래관계를 통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공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부모진로지지가 대학생의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공만족도와 진로적응성의 이중매개효과
- 학령기 다문화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궤적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차별피해경험과 차별가해행동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및 지각된 인권존중의 조절된 매개효과
- 성인이행기 청년의 사회적 관계망 인식 및 독립의향과의 관계: 청년 삶 실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기본심리욕구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셜 미디어상의 사회적 지지에 의한 양육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코로나 시기 대학생의 애착 안정성: 성인애착 유형과 정서조절,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을 중심으로 한 단기 종단 연구
- 초기 청소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일-양육 양립 시 이점 및 갈등에 대한 종단적 연구: 자기회귀교차지연(ACLM)과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 (APIM)의 적용
- 중학생 대상 미디어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사례
- 유아 존댓말 사용 및 상호작용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