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차별피해경험과 차별가해행동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및 지각된 인권존중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124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Victim Experience and Discriminatory Behavior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Respect for Human Rights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최인숙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31권 제2호, 25~3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차별피해경험이 우울을 매개로 차별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인권존중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한국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김영지 등, 2022)에서 초등학교 4 ~ 6학년, 중학교 및 고등학교 전체 학년을 대상으로 수
집한 자료 가운데 초기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4~6학년 2,994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에는 SPSS 25.0과 Process macro for SPSS 4.2(Hayes, 2022)의 Model 4, Model 7을 활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의 차별피해경험과 차별가해행동 간에 우울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초등학생의 차별피해경험이 많을수록 우울 수준도 높아졌고 차별가해행동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생의 차별피해경험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인권존중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등학생의 차별피해경험, 우울, 차별가해행동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인권존중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인권존중 수준이 높아질수록 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작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차별가해행동에 대한 차별피해경험의 직접효과와 우울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인권존중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초기 청소년기부터 차별행동에 대한 예방과 개입을 위해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respect for human rights between discrimination victim experience and discrimination behavior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Data collected from the Korean Human Rights Practices Surve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Kim et al., 2022)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of 2,994 students in early adolescence. The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and the Process Macro for SPSS 4.1 (Hayes, 2022), model 4 and model 7.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scrimination victim experience and discriminatory behavior was significant.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respect for human rights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discrimination victim experience and depression.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respect for human rights was significant, and the mediating effect became smaller as the level of respect for human rights increased. This study confirms the direct effect of discrimination victim experience on discriminatory behavior, the indirect effect through depress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respect for human rights, providing empirical data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discriminatory behavior from early adolescence.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행복감에 대한 어머니의 권위주의적인 양육행동, 또래애착 및 학업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 또래애착과 학업스트레스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주의집중 문제가 또래관계를 통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공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부모진로지지가 대학생의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공만족도와 진로적응성의 이중매개효과
- 학령기 다문화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궤적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차별피해경험과 차별가해행동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및 지각된 인권존중의 조절된 매개효과
- 성인이행기 청년의 사회적 관계망 인식 및 독립의향과의 관계: 청년 삶 실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기본심리욕구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셜 미디어상의 사회적 지지에 의한 양육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코로나 시기 대학생의 애착 안정성: 성인애착 유형과 정서조절,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을 중심으로 한 단기 종단 연구
- 초기 청소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일-양육 양립 시 이점 및 갈등에 대한 종단적 연구: 자기회귀교차지연(ACLM)과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 (APIM)의 적용
- 중학생 대상 미디어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사례
- 유아 존댓말 사용 및 상호작용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