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진로지지가 대학생의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공만족도와 진로적응성의 이중매개효과
이용수 178
- 영문명
- The Effect of Parental Career Support on Occupational Engagement: The Serial Mediating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Adaptability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소연희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31권 제2호, 11~2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관여행동의 증진을 위한 진로지도의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부모 진로지지와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와 진로적응성의 이중매개 효과를 분석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경상남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Process macro 모델 4와 6을 사용하여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첫째, 모델 4 분석을 통해서 부모진로지지와 진로관여행동과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와 진로적응성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모델 6 분석을 통해서 부모진로지지와 진로관여행동과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와 진로적응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분적 이중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이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살펴본 결과, 전공만족도와 진로적응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전공만족도가 진로적응성 보다도 매개효과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진로관여행동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진로지지, 전공만족도 및 진로적응성을 기반으로 한 진로지도 방안과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해야 함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erial mediating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adap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areer support and occupational engagement among 240 college students. This research employs questionnaire data and serial mediation model analyses via SPSS Macro models 4 and 6 to explore the potential pathways through which parental career support may influence students' occupational engagement. The findings reveal that both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adaptability serve as significant partial mediators individually (Model 4) and in tandem (Model 6)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areer support and occupational engagement. Furthermore, bootstrapping analysis highlights the indirect effects, showcasing the greater influence of major satisfaction when compared to career adaptability.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ng parental career support,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adaptability into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programs to enhance college students' occupational engagement.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행복감에 대한 어머니의 권위주의적인 양육행동, 또래애착 및 학업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 또래애착과 학업스트레스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주의집중 문제가 또래관계를 통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공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부모진로지지가 대학생의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공만족도와 진로적응성의 이중매개효과
- 학령기 다문화 아동의 자아존중감 변화궤적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차별피해경험과 차별가해행동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및 지각된 인권존중의 조절된 매개효과
- 성인이행기 청년의 사회적 관계망 인식 및 독립의향과의 관계: 청년 삶 실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기본심리욕구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셜 미디어상의 사회적 지지에 의한 양육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코로나 시기 대학생의 애착 안정성: 성인애착 유형과 정서조절, 어머니의 정서적 가용성을 중심으로 한 단기 종단 연구
- 초기 청소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일-양육 양립 시 이점 및 갈등에 대한 종단적 연구: 자기회귀교차지연(ACLM)과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 (APIM)의 적용
- 중학생 대상 미디어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사례
- 유아 존댓말 사용 및 상호작용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