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러티브 탐구: 그 철학적 뿌리> 번역 경험으로부터 배우기
이용수 127
- 영문명
- Learning from the Experience of Translating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염지숙 김아람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2권 제1호, 87~10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탐구: 그 철학적 뿌리(Narrative Inquiry: Philosophical Roots)》번역 과정에서 관계적 존재론에 기반을 둔 협력이 어떻게 일어났는지를 자서전적 내러티브 탐구로 살펴봄으로써, 내러티브 탐구의 핵심인 관계와 협력을 가시화하고자 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퍼즐은 다음과 같다. 1. 《내러티브 탐구: 그 철학적 뿌리》 번역 과정에서 관계적 윤리에 기반을 둔 협력은 어떻게 일어났는가? 2. 《내러티브 탐구: 그 철학적 뿌리》 번역 경험은 내러티브 탐구자로서의 우리 삶을 어떻게 형성해왔는가? 이 연구의 연구자이자 참여자인 우리가 번역 작업 중 경험한 협력은 서로에 대한, 그리고 더 큰 학문공동체에 대한 책임과 헌신, 새로운 함께 되기를 위한 토대로서의 상상력, 저자들과 그 주변인물, 책 속의 이론가들과의 연결과 재연결을 통한 관계적 지식의 습득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우리는 협력적 내러티브 탐구자-되기로서의 살아 가고자하는 이야기(stories to live by)를 구축해갔다. 이 연구의 결과는 내러티브 탐구에서 관계와 협력의 의미를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됨으로써, 내러티브 탐구자들이 관계적 내러티브 탐구를 실천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used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to explore how collaboration based on a relational ontology occurred during the translation of 《Narrative Inquiry: Philosophical Roots, in order to make visible the relationships and collaboration at the hear of narrative inquiry. The research puzzles are as follows. 1. How did collaboration based on a relational ethics occur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Narrative Inquiry: Philosophical Roots》? 2. How has the experience of translating 《Narrative Inquiry: Philosophical Roots》 shaped our lives as narrative inquirers? As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in this study, the collaboration we experienced during the translation work was characterized by responsibility and commitment to each other and to the larger academic community; imagination as a foundation for new ways of a becoming; the acquisition of relational knowledge through connections and reconnections with the authors, and the theorists in the book. In this process, we 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our stories to live by as becoming collaborative narrative inquir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relationships and collaboration in narrative inquiry, and finally contribute to the practice of relational narrative inquiry by narrative inquirers.
목차
Ⅰ. 내러티브 시작: 번역 과정에서의 성찰
Ⅱ. 연구방법
Ⅲ. 관계적 윤리에 기반을 둔 협력적 번역 경험 이야기
Ⅳ. 살아가고자 하는 이야기(Stories to live by): 협력적 내러티브 탐구자-되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놀이하는 인간과 이야기하는 인간: 니체의 「세 가지 변화」 다시 읽기
- 교육과정의 계속성을 고려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 : 협동작문 수업 사례와 학생들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내러티브의 신경과학이 교육과정-수업-평가에 미치는 시사점 탐구
- 중등학교 저경력 교사들의 교직 경험 분석을 통한 교원양성기관의 영 교육과정과 향후 과제
- 초심상담자의 주호소문제 구체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내러티브 탐구: 그 철학적 뿌리> 번역 경험으로부터 배우기
-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교육적 적용 가능성 탐구
- 60대 두 여성의 명상메일 경험의 의미 탐구
- IB MYP 학교 인증 과정에서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셀프 내러티브
- 새내기 의료통역담당자의 직업 적응과 의미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상담대학원 석사과정생의 상담자 되어감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