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새내기 의료통역담당자의 직업 적응과 의미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45
- 영문명
- Narrative Inquiry of a Novice Medical Interpreter’s Job Adaptation and its Meaning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최은아 /Eunah Choi 1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2권 제1호, 227~25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새내기 의료통역담당자의 직업 적응의 과정을 이해하고 직무의 의미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의 한 대학병원 국제진료센터에 근무 중인 2년차 의료통역담당자를 섭외하고 2017년 8월, 2회에 걸쳐 4시간 이상의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취업하기까지의 과정, 업무 적응, 직무 경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에 따라 자료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연구 참여자의 직업 적응과 직무 경험은 (1) ‘우연히 접한 세계’, (2) ‘새로운 배움의 현장’, (3) ‘직무 정체성: 내가 보는 나’, (4) ‘역할 인식의 충돌: 남이 보는 나’, (5) ‘진로의 확장’으로 나타났다. 직무 경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에서 현장으로의 배움의 확장이 있었다. 둘째, 서로 다른 세계의 충돌을 경험하고 그 갈등을 해소하면서 정체성을 확립하게 되었다. 셋째, “사람” 이 직무의 핵심 가치라는 것을 인식하면서 의미를 찾는 과정이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through which novice medical interpreters adapt to their jobs, and inquire into the meaning of their job experience.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August, 2017 (two sessions amounting to more than four hours) with a medical interpreter who was employed at an international medical center of a teaching hospital in Seoul. Data was collected during the interview which included narratives on the employment process, job adaptation, and job experience. Following the procedures of narrative inquiry, data was analyzed and the following themes were reached: (1) happenstance, meeting a new world, (2) a new site of learning, (3) job identity: how I see myself, (4) clash of role perceptions: how others see me, (5) careers expanding. The participant’s job experience had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learning expanded from the classroom to the field. Second, identity was forged after experiencing a clash of different worlds in a effort to resolve conflict. Third, the participant discovered meaning in that “people” were her core value on the job.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수지의 이야기
Ⅳ. 새내기 의료통역코디네이터의 직무 경험의 의미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놀이하는 인간과 이야기하는 인간: 니체의 「세 가지 변화」 다시 읽기
- 교육과정의 계속성을 고려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 : 협동작문 수업 사례와 학생들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내러티브의 신경과학이 교육과정-수업-평가에 미치는 시사점 탐구
- 중등학교 저경력 교사들의 교직 경험 분석을 통한 교원양성기관의 영 교육과정과 향후 과제
- 초심상담자의 주호소문제 구체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내러티브 탐구: 그 철학적 뿌리> 번역 경험으로부터 배우기
-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교육적 적용 가능성 탐구
- 60대 두 여성의 명상메일 경험의 의미 탐구
- IB MYP 학교 인증 과정에서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셀프 내러티브
- 새내기 의료통역담당자의 직업 적응과 의미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상담대학원 석사과정생의 상담자 되어감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