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60대 두 여성의 명상메일 경험의 의미 탐구
이용수 29
- 영문명
- Exploring the Meaning of the Meditation Mail Experience of Two Women in their 60s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이한결 문현식 김민호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2권 제1호, 255~28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60대 두 여성의 명상메일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이들의 일상 안에서 명상메일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로부터 명상메일의 세 가지 의미를 발견하였다. 첫째, 명상메일은 ‘삶의 등대’, ‘삶의 나침반’의 역할을 해준다. 둘째, 명상메일은 나도 그렇게 되고 싶다는 원함, 바램, 동기를 갖게 해준다. 셋째, 명상메일은 문화적 소비자에서 문화적 생산자로 예술가의 삶을 살아가게 한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가 명상메일이라는 매체를 통해 감사, 사랑, 위로, 격려와 같은 긍정의 마음이 자라났으며, 명상사진, 시, 음악이 하나의 장르로 완성된 명상메일의 시각화, 이야기하기 등을 통해 내적 치유와 성장을 촉진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meditation-mail through the stories of women in their 60s about their experiences with meditation-mail, and how do they live with meditation-mail in their lives? is to explore. The researcher discovered three meanings of meditation emails from the research participants. First, meditation mail serves as a ‘lighthouse of life’ and a ‘compass of life’. Second, meditation mail gives me the desire, desire, and motivation to want to be like that. Third, meditation mail allows artists to live their lives from cultural consumers to cultural producers.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such as gratitude, love, comfort, and encouragement in their daily lives through the medium of meditation mail, and through meditation mail, which is a genre of meditation photos, poetry, and music, through visualization and storytelling. Promotes internal healing and growt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60대 두 여성의 명상메일 경험의 의미탐구
Ⅴ. 논의 및 결론 : 내러티브를 마치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놀이하는 인간과 이야기하는 인간: 니체의 「세 가지 변화」 다시 읽기
- 교육과정의 계속성을 고려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 : 협동작문 수업 사례와 학생들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내러티브의 신경과학이 교육과정-수업-평가에 미치는 시사점 탐구
- 중등학교 저경력 교사들의 교직 경험 분석을 통한 교원양성기관의 영 교육과정과 향후 과제
- 초심상담자의 주호소문제 구체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내러티브 탐구: 그 철학적 뿌리> 번역 경험으로부터 배우기
-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교육적 적용 가능성 탐구
- 60대 두 여성의 명상메일 경험의 의미 탐구
- IB MYP 학교 인증 과정에서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셀프 내러티브
- 새내기 의료통역담당자의 직업 적응과 의미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상담대학원 석사과정생의 상담자 되어감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