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교육적 적용 가능성 탐구
이용수 34
- 영문명
- Exploring the Educational Applicability of Narrative and Metaphor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노진규 김수영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2권 제1호, 145~16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차원에서 교육적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언어, 예술, 정치와 경제 등의 인간 삶의 한 부분에서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의미를 탐색하였고, 그 결과 내러티브와 메타포가 인간의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작동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교육적 적용 가능성으로 교육의 담론 형성 및 교수-학습 과정에서 개념의 형성 과정, 정체성 형성 과정 및 연구 방법 측면에서 내러티브와 메타포 활용으로서 교육의 인지지도 확장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내러티브는 인간의 삶을 서사적 구조로서 재구성하며, 메타포는 이 과정에서 내러티브 생성을 위한 상상의 도구로서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교육이 인간을 대상으로 하고, 그들의 바람직한 삶을 돕기 위해서는 교육 언어에 대한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이해 및 작동 양상에 대한 심층적 이해가 필요하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applicability of the dimensions of narrative and metaphor. For this purpose, the meaning of narrative and metaphor was explored in one part of human life, such as language, art, politics, economic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narrative and metaphor operate in various areas of human life. Then, in terms of educational applications, w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cognitive map of education by utilizing narratives and metaphors in terms of discourse formation in education, concept formation process in teaching and learning, identity formation process, and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narratives reconstruct human life as a narrative structure, and metaphors play a role in this process as imaginary tools for narrative creation. If education is to target human beings and help them live desirable lives,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narrative and metaphor are understood and operationalized in the language of education will be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협업
Ⅲ. 내러티브와 메타포 그리고 인간의 삶
Ⅳ.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교육적 적용 가능성: 교육 인지지도(cognitive map)의 확장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놀이하는 인간과 이야기하는 인간: 니체의 「세 가지 변화」 다시 읽기
- 교육과정의 계속성을 고려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 : 협동작문 수업 사례와 학생들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내러티브의 신경과학이 교육과정-수업-평가에 미치는 시사점 탐구
- 중등학교 저경력 교사들의 교직 경험 분석을 통한 교원양성기관의 영 교육과정과 향후 과제
- 초심상담자의 주호소문제 구체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내러티브 탐구: 그 철학적 뿌리> 번역 경험으로부터 배우기
-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교육적 적용 가능성 탐구
- 60대 두 여성의 명상메일 경험의 의미 탐구
- IB MYP 학교 인증 과정에서 나타난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셀프 내러티브
- 새내기 의료통역담당자의 직업 적응과 의미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상담대학원 석사과정생의 상담자 되어감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