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 분석
이용수 180
- 영문명
- Analysis of perception and educational needs in digital competency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조혜진 최지혜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2권 제4호, 313~33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고, 디지털 역량교육요구의 우선순위를 비교․분석하여 직전교육과 현직교육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 및 경남 지역의 예비유아교사 188명과 현직유아교사 2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와 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 Borich 요구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디지털 역량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현직유아교사가 예비유아교사보다 디지털 역량 수준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를 분석한 결과, 7개 하위역량과 28개 세부역량 모두에서 교육요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공통적으로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 모두 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난 디지털 역량은 ‘디지털 전문성 개발’과 ‘디지털 활용 교육실행 및 콘텐츠 창조’, ‘디지털 교육환경 운영’으로 나타났다. 반면 예비유아교사에게만 교육요구가 높게 나타난 디지털 역량은 ‘디지털교육 정책 및 교육과정 이해’였고, 현직유아교사에게만 교육요구가 높게 나타난 디지털 역량은 ‘디지털 활용 의사소통 및 협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 모두에게서 교육요구가 높았던 최우선순위 3개의 디지털 역량이 교사의 디지털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서 공통적으로 우선 고려되어야 할 교육내용이며, 집단 별 차이가 나타난 교육요구는 각 집단의 요구를 반영하여 직전교육과 현직교육에서계열성 있게 교육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gital competency percep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dentify their specific educational nee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88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256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s, paired sample t-tests, and Borich demand analysis, in line with the research objectiv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higher digital competency th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2. Educational needs were identified in 7 sub-competencies and 28 detailed competencies. Key areas of demand for both groups included ‘Development of Digital Specialization,’ ‘Digital Utilization in Teaching and Content Creation,’ and ‘Operation of Digital Learning Environments.’ On the other hand, ‘Understanding Digital Education Policies and Curricula’ had high educational needs only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ors, while ‘Digital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had high educational needs only for in-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op three digital competencies, with high educational needs for both prospective and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ors should be prioritized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educators’ digital competency, and that differences in educational needs between the two groups should be considered to tailor educational content contextually in pre-service and in-service education.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외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어머니 등장인물 분석
-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빛과 그림자 발견에서 시작한 유아 놀이 여정
- 영유아교사의 창의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놀이성과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 유아 인공지능 놀이 유형에 대한 분석
- 예비영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메타인지 전략이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3~5세 유아의 놀이몰입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 분석
- 액션러닝에 기반한 수업이 예비보육교사의 과학교수태도, 창의적 인성 및 과학적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이 놀이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
- 증강현실(AR)을 활용한 예술활동이 유아의 감성지능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 보육교사 자신이 인식한 인성이 급식지도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가 직무수행과정에서 경험한 딜레마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 개발 NGO의 세계시민교육 운영과 시사점: 월드비전 세계시민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키프로스 분단극복 평화교육: 다문화적 평화공존 사회를 향한 교육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제19권 제4호 목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