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장애인의 돌봄 특성에 관한 연구 : 활동지원서비스의 개선을 중심으로
이용수 96
- 영문명
- A Study on the Specificities of Caring for Persons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Focused on Improvement of Activity Assistant Service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배진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1호, 335~377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7,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에게 직접 돌봄을 제공하는 당사자의 가족과 돌봄서비스 제공자들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정신장애 당사자가 정신장애로 인하여 고유하게 지니게 되는 돌봄의 본성을 살펴보았다. 정신장애인 돌봄의 특성과 함의를 도출한 결과, 첫째, 정신장애인 돌봄은 단순한 활동지원보다 더욱 복합적인 활동이다. 둘째, 정신장애인에 대한 돌봄은 대개 비가시적 활동으로 구성된다. 셋째, 정신장애인 돌봄은 자립생활 훈련의 성격을 지니기도 한다. 넷째, 정신장애인이 처해있는 사회적 환경으로 인해 추가적인 돌봄이 요구된다. 다섯째, 정신장애인 개인에 따라 일상생활능력의 차이가 현저하며 그에 따라 맞춤형 돌봄이 요구된다. 그에 따라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면 첫째, 활동지원서비스에서 적용되는 서비스지원 종합조사의 인지행동특성 영역은 세부화되어야 하며,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에 대한 돌봄욕구도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정신장애인도 가산수당의 대상으로 포함하여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셋째, 정신장애 특성이 반영된 신규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위기서비스와 동료지원서비스 등이 돌봄서비스와 적극 연계되어야 한다. 넷째 가족지원서비스를 확충하고 가족의 돌봄 활동에 대한 공식 인정이 도입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nature of care that is unique to persons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PPDs), conducting FGIs with family members and care service providers who provide direct care. The specificities and implications of caring for PPD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Caring for PPDs is a more complex activity than simple activity assistance. Second, Caring for PPDs often consists of invisible activities. Third, Care for PPDs is often like independent living training. Fourth, PPDs require additional care due to their social environment. Fifth,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aily living abilities among PPDs, and customized care is required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policy alternatives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behavioral characteristics section of the Comprehensive Survey for Providing Services applied to Activity Assistant Services should be elaborated and include care needs for communication and decision-making of PPDs. Second, PPDs should be included as eligible for the supplemental allowance. Third, New servic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PPDs should be developed, especially crisis services and peer support services, which should be actively linked to care services. Fourth, Family support services should be expanded and caregiving of family members should be officially recognized as social caregiving activit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정신장애인 가족 대상 FGI 질적분석 결과
5. 정신장애인 돌봄서비스제공자 대상 FGI 질적분석 결과
6.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장애인의 돌봄 특성에 관한 연구 : 활동지원서비스의 개선을 중심으로
- 장애인복지관 종사자가 인식하는 기관장 리더십 유형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직무소진 매개효과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돌봄스트레스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
- 리더역량을 바탕으로 한 발달장애인 자조모임 리더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발달장애인의 이동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클라이언트 폭력이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업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국제사회의 북한 장애문제 인식 고찰: UN장애인권리협약 조약-보고체제 문서를 중심으로
- 고령장애인의 우울, 신체적 기능, 그리고 사회적 유대감이 자살위험에 미치는 영향: 삼원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 빈곤 감소 및 고용률에 대한 장애인 정책 조합
- 주간활동서비스 이용자와 돌봄제공자의 삶의 변화 및 서비스에 대한 기대: 성인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의 관점
- 지역사회 거주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지원요인: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시각장애인의 주거 형태가 안전환경을 매개로 안전인식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