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사회 거주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지원요인: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이용수 90
- 영문명
- Daily Living Support Factors Influencing Challenging Behavior amo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iving in the Community :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이진혁 강희주 정익중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1호, 29~5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까지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대한 실증연구는 부족하고, 특히 젠더 특성을 고려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2020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를 활용하여 SUR 토빗 모형을 적용하여 성별 도전적 행동 발생 빈도 및 심각 정도 양상과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최종 분석에 지역사회 거주 남성 발달장애인 1,616명, 여성 발달장애인 723명이 선정되었다. 분석결과, 여성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의 전반적인 양상이 남성만큼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로 차이를 보이는 영향요인들이 있었다. 남성 발달장애인에게서는 일상생활 차별 경험이 있을수록, 새로운 관계 형성이 쉽지 않을 때 도전적 행동의 발생 빈도 및 심각 정도가 함께 늘어났다. 반면 여성 발달장애인에게서는 인지기능 점수가 낮을수록 도전적 행동의 발생 빈도 및 심각 정도가 함께 늘어났으며, 발달장애인 복지서비스 이용 시 문제 경험 변수의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컸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빈번하고 심각한 도전적 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 및 정책적 방안으로 도전적 행동 위험 사정 체크리스트 개발, 다차원적 일상적 지원 프로그램 제공, 성별 차이를 고려한 맞춤형 지역사회 프로그램과 교육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challenging behaviors in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specially those that consider gender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challenging behaviors by gender,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by applying the SUR Tobit model using the ‘2020 Survey of Daily Life and Work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ata. A total of 1,616 men and 723 wom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iving in the community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pattern of challenging behaviors among wom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as severe as among men, and that there were influencing factors that differed by gender. That is, for m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challenging behaviors increased with the experience of daily discrimination and the difficulty of forming new relationships. For wom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lower cognitive functioning score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frequency and severity of challenging behaviors,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problematic experience on social servic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variable was greatest. Based on the findings, we presented the development of a challenging behavior risk assessment checklist, the provision of multidimensional daily living support programs, and gender sensitive community programs and education as practice and policy measures to prevent frequent and severe challenging behavior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문헌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장애인의 돌봄 특성에 관한 연구 : 활동지원서비스의 개선을 중심으로
- 장애인복지관 종사자가 인식하는 기관장 리더십 유형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직무소진 매개효과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돌봄스트레스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
- 리더역량을 바탕으로 한 발달장애인 자조모임 리더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발달장애인의 이동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클라이언트 폭력이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업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국제사회의 북한 장애문제 인식 고찰: UN장애인권리협약 조약-보고체제 문서를 중심으로
- 고령장애인의 우울, 신체적 기능, 그리고 사회적 유대감이 자살위험에 미치는 영향: 삼원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 빈곤 감소 및 고용률에 대한 장애인 정책 조합
- 주간활동서비스 이용자와 돌봄제공자의 삶의 변화 및 서비스에 대한 기대: 성인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의 관점
- 지역사회 거주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지원요인: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시각장애인의 주거 형태가 안전환경을 매개로 안전인식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