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령장애인의 우울, 신체적 기능, 그리고 사회적 유대감이 자살위험에 미치는 영향: 삼원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136
- 영문명
- Associations of depression, physical functioning, and social connectedness on suicide risk among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a three-way interaction effect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이병화 김준범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1호, 127~14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장애인의 자살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를 신체, 정신,하고 자살위험과의 관계를 검정하여 정책 및 실천적 개입의 단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사회건강적 관점에 따라 우울, 신체적 기능, 사회적 유대감으로 구분 이를 위해 2021년 경기도지체장애인협회에서 고령장애인 쉼터 이용자 대상 실태조사에 응한 총 202명에 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장애인 자살위험군일수록 정신 및 사회건강이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양상을 보였으나 인구사회학적인 요인과 신체건강 상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령장애인의 우울, 신체적 기능, 그리고 사회적 유대감의 삼원 상호작용항은 자살위험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이는 우울 정도가 심각한 고령장애인일수록 신체건강과 사회건강의 영향을 탄력적으로 받아 자살위험의 영향력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고령장애인의 자살위험 완화를 위해서는 다체계적 개입이 전제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신, 신체, 사회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및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main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suicide risk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into depression, physical functioning, and social bonding according to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perspectives, and to test their relationship with suicide risk to provide a basis for policy and practical interventions. We used 202 data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surveys on the satisfaction with use of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y conducted by Korea Association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2021.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and physical functioning were significantly more negative among those at risk of suicide, however, no differences found in demographic factors and physical health. Second, the three-way interaction of depression, physical functioning, and social connectedness was negatively predictive of suicide risk. This suggests that the risk of suicide is influenced by the elasticity of physical and social health among older adults with severe depression, suggesting that multisystemic interventions are necessary to reduce the risk of suicide among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and practical interventions to promote mental, physical, and social health were suggest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장애인의 돌봄 특성에 관한 연구 : 활동지원서비스의 개선을 중심으로
- 장애인복지관 종사자가 인식하는 기관장 리더십 유형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직무소진 매개효과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돌봄스트레스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
- 리더역량을 바탕으로 한 발달장애인 자조모임 리더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발달장애인의 이동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클라이언트 폭력이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업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국제사회의 북한 장애문제 인식 고찰: UN장애인권리협약 조약-보고체제 문서를 중심으로
- 고령장애인의 우울, 신체적 기능, 그리고 사회적 유대감이 자살위험에 미치는 영향: 삼원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 빈곤 감소 및 고용률에 대한 장애인 정책 조합
- 주간활동서비스 이용자와 돌봄제공자의 삶의 변화 및 서비스에 대한 기대: 성인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의 관점
- 지역사회 거주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지원요인: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시각장애인의 주거 형태가 안전환경을 매개로 안전인식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