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장애인의 주거 형태가 안전환경을 매개로 안전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27
-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Housing Type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on Safety Awareness through Safety Environment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전지혜 남지현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1호, 5~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주거 형태에 따라 안전환경의 조성 정도는 다르고, 이러한 주거 형태와 안전환경은 시각장애인의 안전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주거 형태가 안전환경을 매개로 안전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19년 장애인삶 패널조사에 응답한 698명의 시각장애인 응답을 활용하여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시각장애인의 주거 형태와 안전인식의 관계에서 안전환경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안전환경을 향상할 수 있는 주거환경의 개선과 주거 형태에 따른 지원 방안의 다각화, 시각장애인의 정보접근성을 고려한 안전환경에 대한 정보제공, 시각장애인의 재난대응정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 및 대피훈련의 개발, 시각장애인 대상 안전지킴이 연계 등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degree of safety environmen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sidential type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nd that such residential type and safety environment can affect the safety awareness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type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on safety awareness through safety environment factors. This study was conducted a mediation analysis using the responses of 698 people with visually impairment who responded to the 2019 Life of the Disabled Panel Surve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afety environment factor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type and safety awareness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Based on this,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can improve the safety environment for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diversify support plans according to housing types, provide information on safe environments considering the information accessibility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nd respond to disasters for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Necessities such as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evacuation drills that can enhance safety, and connection with safety guards for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were discussed.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장애인의 돌봄 특성에 관한 연구 : 활동지원서비스의 개선을 중심으로
- 장애인복지관 종사자가 인식하는 기관장 리더십 유형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직무소진 매개효과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돌봄스트레스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
- 리더역량을 바탕으로 한 발달장애인 자조모임 리더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발달장애인의 이동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클라이언트 폭력이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업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국제사회의 북한 장애문제 인식 고찰: UN장애인권리협약 조약-보고체제 문서를 중심으로
- 고령장애인의 우울, 신체적 기능, 그리고 사회적 유대감이 자살위험에 미치는 영향: 삼원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 빈곤 감소 및 고용률에 대한 장애인 정책 조합
- 주간활동서비스 이용자와 돌봄제공자의 삶의 변화 및 서비스에 대한 기대: 성인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의 관점
- 지역사회 거주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지원요인: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시각장애인의 주거 형태가 안전환경을 매개로 안전인식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