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클라이언트 폭력이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업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167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Client Violence o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 -Focusing on Mediated Effect of Job-Esteem-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장다희 설진화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1호, 173~19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클라이언트 폭력이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사이에서 이직의도가 가지는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영남지역에 위치한 장애인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총 245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각 변수는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클라이언트 폭력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직업존중감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여성 사회복지사와 40대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중요하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직업존중감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직업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사회복지를 전공하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에서 직업존중감이 다뤄질 필요가 있다. 다섯째, 폭력을 행사한 클라이언트를 제재할 수 있는 강력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여섯째, 대상과 분야를 다양하게 설정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job-esteem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client violence on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 i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This study administered questionnaires to social workers working i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located at Yeongnam and used a total of 245 copies in final analysis. The data analysis used SPSS program. The Variables of client violence, job-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have weak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job-esteem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client violence on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 i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it can provid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a ways to reduce female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 and the 40’s social worker.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examine social workers’ job-esteem. Third, develop programs for enhancing the job-esteem. Fourth, conduct various studies on not only social workers working on the field but also students majoring in the social work. Fifth, need more effective and powerful regulation to the client who used violence. Sixth, need the study with other field and subject.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장애인의 돌봄 특성에 관한 연구 : 활동지원서비스의 개선을 중심으로
- 장애인복지관 종사자가 인식하는 기관장 리더십 유형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직무소진 매개효과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돌봄스트레스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
- 리더역량을 바탕으로 한 발달장애인 자조모임 리더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발달장애인의 이동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클라이언트 폭력이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업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국제사회의 북한 장애문제 인식 고찰: UN장애인권리협약 조약-보고체제 문서를 중심으로
- 고령장애인의 우울, 신체적 기능, 그리고 사회적 유대감이 자살위험에 미치는 영향: 삼원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 빈곤 감소 및 고용률에 대한 장애인 정책 조합
- 주간활동서비스 이용자와 돌봄제공자의 삶의 변화 및 서비스에 대한 기대: 성인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의 관점
- 지역사회 거주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지원요인: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시각장애인의 주거 형태가 안전환경을 매개로 안전인식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