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간활동서비스 이용자와 돌봄제공자의 삶의 변화 및 서비스에 대한 기대: 성인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의 관점
이용수 113
- 영문명
- Service Expectations and Life Change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Using Day Activity Services and Their Caregivers : Perspectives of Mothers of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이은혜 김민아 황신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61호, 61~9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성인 발달장애인에게 의미 있는 낮 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이들의 자립과 지역사회 참여를 지원하는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가 2019년도부터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주간활동서비스를 이용한 성인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의 관점에서 이용자 및 어머니의 삶의 변화와 서비스에 대한 기대를 탐색하였다. 심층인터뷰를 통해 15명의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경험이 공유되었고, 주제분석을 통해 3가지 대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주간활동서비스 이용 이후 발달장애 자녀의 자립 능력 향상, 성취감 도모, 도전적 행동 감소, 사회적 상호작용의 증가와 같은 긍정적인 변화를 보고하였을 뿐 아니라, 주돌봄제공자로서 돌봄 부담의 감소, 심리적 안정, 자녀의 관심사 발견, 직장 및 사회생활 집중의 변화를 보고하였다. 또한, 주간활동서비스의 지속성 확보 및 질적 향상과 관련한 다양한 기대를 공유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이용자 돌봄제공자의 측면에서 주간활동서비스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들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서비스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기여하였다.
영문 초록
Day Activity Services, a program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19 to support their independence and community participation by providing meaningful daytime activities. This study explored life changes and expectations for ser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mothers of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Day Activity Servic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15 mothers shared their thoughts and experiences. Thematic analyses yielded three overarching themes and 12 subthemes. Our participants reported positive changes in their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ch as improved independence, feelings of achievement, reduced challenging behavior, and increased social interactions. These mothers also experienced changes as a primary caregiver, such as reduced care burden, improved psychological well-being, discovery of their children’s interests, and ability to concentrate on work and social life. They shared expectations for continuity and improved quality of services. This study confirmed the positive outcomes of Day Activity Services for service users and caregivers, and its findings can be used to improve these services to better meet the needs of these client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장애인의 돌봄 특성에 관한 연구 : 활동지원서비스의 개선을 중심으로
- 장애인복지관 종사자가 인식하는 기관장 리더십 유형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직무소진 매개효과
- 성인 발달장애인 부모의 돌봄스트레스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
- 리더역량을 바탕으로 한 발달장애인 자조모임 리더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발달장애인의 이동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클라이언트 폭력이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업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국제사회의 북한 장애문제 인식 고찰: UN장애인권리협약 조약-보고체제 문서를 중심으로
- 고령장애인의 우울, 신체적 기능, 그리고 사회적 유대감이 자살위험에 미치는 영향: 삼원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 장애인 빈곤 감소 및 고용률에 대한 장애인 정책 조합
- 주간활동서비스 이용자와 돌봄제공자의 삶의 변화 및 서비스에 대한 기대: 성인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의 관점
- 지역사회 거주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지원요인: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시각장애인의 주거 형태가 안전환경을 매개로 안전인식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