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SI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후 변화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후 소양과 의사 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57
- 영문명
- Effect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using the SSI Program on Climate Literacy and Decision-Making Cap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 발행기관
-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 저자명
- 양슬기 소금현
- 간행물 정보
- 『에너지기후변화교육』제13권 제2호, 137~15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SSI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후 변화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후 소양 및 의사소통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있는 B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SI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후 변화 교육은 초등학생의 기후 소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SSI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후 변화 교육 실시 후 학생들의 기후 소양이 향상되었으며, 기후 소양의 하위 영역인 인지적⋅정의적⋅실천적 영역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상승이 이루어졌다. 둘째, SSI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후 변화 교육은 초등학생의 의사결정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생들은 기후 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해 보며 본인의 가치 판단에 따라 가장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의사결정력의 하위 영역인 문제 인식, 정보 탐색, 대안 생성, 가치 분석, 가치 평가, 결과 검토 영역까지 모든 영역의 함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SI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후 변화 교육을 실시하며 초등학생들이 기존의 수업보다 더 높은 관심도와 흥미를 표출하였다. 학생들은 본인들이 중심이 되어 문제를 명확히 이해하고, 그 원인에 대해 직접 조사해 보며 기후 변화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체감하게 되었다. 또한 기후 변화 문제에 대한 토의⋅토론을 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들을 모색할 때 개개인의 윤리적 가치를 도입하여 합리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올바른 윤리 의식을 나눌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해보았을 때, SSI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후 변화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후 소양 및 의사결정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education through the SSI program on climate literacy and decision-making cap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with 22 sixth-grade students of an elementary school in Busan, South Korea. The climate change education employing the SSI program remarkably enhanced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across cognitive, affective, and practical subdomains, as well as improved their decision-making skills. The students were engaged in resolving a variety of climate change issues through various activities and experienced the process of making the most rational choice based on their value judgments. All areas of decision-making abilities (problem recognition, information searching, alternative creation, value analysis, value evaluation, and result review) were effectively cultiva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aged in the SSI program also expressed higher interest in climate change education than they did in their existing classes. The students played the central role and clearly understood the problem, investigated the cause, and understood the severity of the climate change problem. In addition, when discussing climate change issues and exploring different problem-solving strategies, we introduced ethical values that instilled proper ethical awareness for rational problem solving. In conclusion, climate change education using the SSI program successfully enhanced both the climate literacy and decision-making cap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과학 소양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 대학 교정 생물 기반 생태동영상 활용 수업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생태 소양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의 지역 환경과 기후 변화 데이터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함양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생활 속 에너지 주제 온라인 가상실험실 수업의 효과성 분석 -소외지역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 토픽 모델링과 대화형 인공지능(ChatGPT)을 이용한 전국과학전람회의 에너지 관련 연구 주제 분석
- SSI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후 변화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후 소양과 의사 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 미국 뉴저지주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내용 분석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에너지 관련 성취기준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아동⋅청소년의 참여방안 연구
- 섬유 정크아트가 초등학생의 친환경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기후변화 동아리 활동이 기후변화 대응 실천 역량과 생태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