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후과학 소양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이용수 151
-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cience Curriculum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from the Perspective of Climate Science Literacy
- 발행기관
-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 저자명
- 황해영 박재용
- 간행물 정보
- 『에너지기후변화교육』제13권 제2호, 213~23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기후과학 소양의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차세대과학표준(NGSS)에 나타난 기후변화 교육 내용을 비교⋅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우리나라 기후변화 교육의 방향 설정에 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기후변화 연구프로그램(US GCRP)에서 발표한 ‘기후과학 소양의 본질적 원리’를 기준으로 설정한 후,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NGSS의 교과 핵심 아이디어 및 수행 기대에 제시된 내용에 기초하여 기후과학의 원리가 반영된 정도 및 학년군별 연계 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NGSS와 비교하여 기후과학의 원리와 기초 개념이 교육과정에 고르게 반영되어 있지 않았고, 기후과학의 원리와 기초 개념이 학생들의 발달 수준에 맞추어 의미 있게 구분되거나 학교급별로 연계되지 않아 기후변화 교육의 계열성, 계속성, 연계성 측면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기후과학 소양 함양에 필요한 기후변화 교육의 방향을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s related to climate change education in Korea’s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United State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NGSS) from the perspective of climate science literacy. Therefore, based on the “The Essential Principles of Climate Science Literacy” published by the United States Global Change Research Program, the degree of reflection of climate science principles and connectivity by grade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NGSS’s disciplinary core ideas and performance expect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did not evenly reflect the principles and fundamental concepts of climate science compared to the NGSS. In addition, the principles and fundamental concepts of climate science are not meaningfully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students’ developmental stages or connected between different school levels, resulting in the lack of sequence, continuity, and connectivity of climate change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future direction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necessary to cultivate climate science literacy in students in terms of the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과학 소양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 대학 교정 생물 기반 생태동영상 활용 수업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생태 소양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의 지역 환경과 기후 변화 데이터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함양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생활 속 에너지 주제 온라인 가상실험실 수업의 효과성 분석 -소외지역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 토픽 모델링과 대화형 인공지능(ChatGPT)을 이용한 전국과학전람회의 에너지 관련 연구 주제 분석
- SSI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후 변화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후 소양과 의사 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 미국 뉴저지주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내용 분석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에너지 관련 성취기준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아동⋅청소년의 참여방안 연구
- 섬유 정크아트가 초등학생의 친환경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기후변화 동아리 활동이 기후변화 대응 실천 역량과 생태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