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etwork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Relevant to the Concept of Energy Presented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Science
- 발행기관
-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 저자명
- 조헌국 노현아 최재혁
- 간행물 정보
- 『에너지기후변화교육』제13권 제2호, 125~13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의 에너지와 관련된 성취기준의 서술을 학교급 및 학문 영역별에 따른 특징을 분석하여 에너지 관련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에 공통 및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과학과 21개 과목 471개 성취기준 중 에너지와 관련된 성취기준 34개를 추출하였으며, 이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해 학교급이나 학문 영역에 따른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에너지와 관련된 내용은 대부분 고등학교 수준이었고, 학문 영역으로는 물리학에 치중되어 있었고, 지구과학의 경우에는 명시적으로 포함된 성취기준이 존재하지 않았다. 성취기준을 구성하는 주요어의 여러 가지 중심성 지수를 살펴보면 설명, 이해, 조사, 논증 등 과정⋅기능적 측면과 에너지의 전환, 활용, 과정 등의 에너지의 흐름과 형태 등에 대한 내용적 요소, 물리적 운동과 화학반응 등의 물리적, 화학적 맥락에서의 에너지에 대한 학습으로 크게 구분됨을 알 수 있다. 커뮤니티 탐지를 중심으로 언어 네트워크의 범주를 분석한 결과 생명 현상 및 생태계에서의 에너지, 지속가능 발전 측면에서의 에너지, 열에너지 및 전기에너지, 지구 및 태양계에서의 에너지, 양자 수준의 에너지, 일상제품 속 에너지와 원리, 물리적 운동에서의 에너지, 자원으로서의 에너지 등 8가지로 구분되었다. 학교급에 따른 성취기준의 특징을 서로 비교하면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고등학교 공통적으로 에너지의 종류나 전환, 이용 등 일생상활과 관련된 측면에서의 에너지에 대한 사용과 실천 등을 다루며,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물리적 운동, 화학반응, 생명현상과 물질대사 등 개념적 맥락에서의 에너지 교육이 점점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에너지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features of achievement standards relevant to the concept of energy presented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science and examining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energy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Thirty-four energy standards were extracted from various science subjects comprising 471 standards, and the network characteristics are compared according to school grades and the fields of science.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relevant standards are dealt with in high schools, with a large proportion linked to physics; however, the subject of earth science does not explicitly include the concept of energy. The result of different types of centralities based on a part-of-speech tagger revealed that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mainly categorized into three areas: procedural skills, such as explanation, investigation, and argumentation; energy-centered components, such as energy forms, transfer, and application; and scientific concepts, such as physical motions and chemical reactions. In this study, clusters of network graphs are examined through community detection, and the networks comprise eight themes. Energy-centered components are widely tackled across the school level. In particular, conceptual and domain-specific contents increased from the primary to secondary level.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energy education aligned with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sci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과학 소양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 대학 교정 생물 기반 생태동영상 활용 수업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생태 소양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의 지역 환경과 기후 변화 데이터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함양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생활 속 에너지 주제 온라인 가상실험실 수업의 효과성 분석 -소외지역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 토픽 모델링과 대화형 인공지능(ChatGPT)을 이용한 전국과학전람회의 에너지 관련 연구 주제 분석
- SSI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후 변화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후 소양과 의사 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 미국 뉴저지주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내용 분석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에너지 관련 성취기준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아동⋅청소년의 참여방안 연구
- 섬유 정크아트가 초등학생의 친환경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기후변화 동아리 활동이 기후변화 대응 실천 역량과 생태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