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교정 생물 기반 생태동영상 활용 수업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생태 소양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74
- 영문명
- The Effect of University Campus Life-Based Ecological Video Utilization Class on Eco-Literac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 발행기관
-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 저자명
- 신동훈
- 간행물 정보
- 『에너지기후변화교육』제13권 제2호, 201~2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내 교정에서 만날 수 있는 주변의 생물들을 직접 생태영상으로 제작해서 강의와 과제수행 등으로 활용하였을 때 예비교사들의 생태소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위해서 대학 교정에서 발견할 수 있는 15편의 동물 생태동영상과 74편의 식물 생태동영상을 개발하여 유튜브 플랫품에 탑재하였고, 이를 예비초등교사 2학년 35명과 3학년 21명에게 적용하여 생태소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생태소양 측정은 윤지현(2022)이 개발한 생태소양 검사지를 활용하였다. 대학 교정에 있는 생물을 기반으로 개발한 생태동영상을 1학기 동안 적용한 결과 예비초등교사들은 5개의 요소 중 3가지 요소, 즉 생태적 감수성, 생태적 지식과 이해, 생태적 사고능력은 모두 유의수준 0.001 수준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생태동영상 활용이 직접 생물을 관찰하는 것 만큼 생태소양을 함양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생태적 가치관과 태도, 생태적 실천과 참여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강의소감 등을 확인해 보면 영향을 미친 것은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 주변에서 관찰할 수 있는 생물의 생태 동영상을 유튜브 플랫폼을 활용하여 개발하면 학생들의 생태소양을 함양할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work aims to study how the eco-literacy of preservice teachers is influenced by ecological videos created based on the surroundings in college campuses and used for lectures and assignments. For research purposes, 15 animal and 74 plant ecological videos were developed and uploaded on the YouTube platform, and the literacy improvements were assessed. An eco-literacy test sheet developed by Yoon (2022) was used to assess the eco-literacy of the students. After using the ecological videos developed based on the organisms found on the university campus for a semeste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bserved that three of the five factors—namely ecological sensitivity,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nd thinking ability—were all improved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0.001. This indicates that the use of ecological videos is as effective in improving eco-literacy as directly observing living organisms. However,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ecological values and attitudes and ecological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se factors had an impact when checking lecture impressions. Thus, if ecological videos of organisms observed in our surroundings are available on the YouTube platform, it is recommended to actively use the videos because they can improve students’ eco-litera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과학 소양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 대학 교정 생물 기반 생태동영상 활용 수업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생태 소양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의 지역 환경과 기후 변화 데이터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함양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생활 속 에너지 주제 온라인 가상실험실 수업의 효과성 분석 -소외지역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 토픽 모델링과 대화형 인공지능(ChatGPT)을 이용한 전국과학전람회의 에너지 관련 연구 주제 분석
- SSI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후 변화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후 소양과 의사 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 미국 뉴저지주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내용 분석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에너지 관련 성취기준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아동⋅청소년의 참여방안 연구
- 섬유 정크아트가 초등학생의 친환경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기후변화 동아리 활동이 기후변화 대응 실천 역량과 생태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