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아동⋅청소년의 참여방안 연구
이용수 443
- 영문명
- A study on Ways to Engage Children and Youth to Respond to the Climate Crisis
- 발행기관
-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성희 변성국 조정림 신동훈
- 간행물 정보
- 『에너지기후변화교육』제13권 제2호, 103~12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기후위기와 아동 권리의 현재를 살펴보고 기후위기 대응 교육 현황 진단을 통한 교육의 방향성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참여방안 모색을 위해 아동, 청소년, 교강사, 기획가 그룹의 Focus Group Interview 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델파이 연구를 통해 아동⋅청소년의 참여방안을 도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법령 제정과 아동⋅청소년이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안전한 ‘기후 행동 공간’이 필요하며 지역의 환경교육센터와 연계한 기후위기 대응 교육 교사 연수를 단계별로 실시하고 전문인력을 교내에 배치하는 등 기후위기 대응 활동을 위한 아동ㆍ청소년의 학습권 보장에 대한 학교의 지원이 이루어지는 교육환경의 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아동ㆍ청소년 권리를 반영한 기후위기 대응 교육을 위해 다양한 사회제도가 지원되어야 한다. 담당하는 강사 인력 확보와 아동ㆍ청소년의 참여를 지원하는 활동과 이력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정비하거나 사회환경 교육 기관에서 기후위기 대응 교육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예산과 지원의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정부의 기후위기 대응 정책 결정 과정에 기후위기 이해 당사자인 아동ㆍ청소년의 참여를 보장하고 이를 지원하는 전담 부서 운영이 필요하다. 아동ㆍ청소년의 권리적 관점에서 기후위기 대응 센터를 확대하고 신설하여 전문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예산과 운영을 지원해야 한다. 넷째, 학교와 지역 공동체 중심으로 기후위기 대응 교육 활성화를 위한 협의체를 신설하고 기후위기 문제를 이해하고 아동ㆍ청소년의 권리와 참여를 보장하는 정책 제안과 다양한 수준의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focus-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groups of children, adolescents, instructors, and planners to assess the current climate crisis and children’s right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climate crisis response education to determine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and ways in which children can participate in responding to the climate crisis. Accordingly, a Delphi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participation plan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 safe “climate action space” is required in which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can be enacted and children and youth can participate independently. In addition, teachers should be trained step-by-step for providing climate crisis response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local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s, and professional personnel must be placed in schoo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o ensure that schools provide support for guaranteeing children’s and adolescents’ right to learn about climate crisis response activities. (2) Various social systems should be supported for climate crisis response education that reflects the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Instructors in charge must be secured, the system for managing activities and maintaining records of children and youth participation must be improved, and the budget and support to strengthen climate crisis response education must be expanded at soci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institutions. (3) Furthermore, the participation of children and youth, who are stakeholders in the climate crisis, must be ensured in the government’s decision-making process regarding response to the climate crisi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local climate crisis response centers must be expanded to support the performance of professional tasks. (4) A consultative group centered o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must be established to promote climate crisis response education, understand the climate crisis, issue policy proposals, and conduct projects at various levels that guarantee the rights and participation of children and yout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과학 소양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 대학 교정 생물 기반 생태동영상 활용 수업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생태 소양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의 지역 환경과 기후 변화 데이터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함양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생활 속 에너지 주제 온라인 가상실험실 수업의 효과성 분석 -소외지역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 토픽 모델링과 대화형 인공지능(ChatGPT)을 이용한 전국과학전람회의 에너지 관련 연구 주제 분석
- SSI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후 변화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후 소양과 의사 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 미국 뉴저지주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내용 분석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에너지 관련 성취기준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아동⋅청소년의 참여방안 연구
- 섬유 정크아트가 초등학생의 친환경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기후변화 동아리 활동이 기후변화 대응 실천 역량과 생태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