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섬유 정크아트가 초등학생의 친환경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6
- 영문명
- Effect of a Fabric Junk Art on the Eco-friendly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 저자명
- Lee, Diane Youngmi 윤효운
- 간행물 정보
- 『에너지기후변화교육』제13권 제2호, 89~10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섬유를 이용한 정크아트 활동이 초등학생의 친환경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초등학교 4학년의 한 반을 실험집단으로 설정하고, 다른 반을 비교집단으로 배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섬유 정크아트 12회기를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미술수업을 받게 하였다. 사전검사에서 친환경태도는 여아가 남아보다 양호하였으며, 활동진술, 구두진술, 정서 등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다. 사전과 사후 결과를 비교했을 때, 섬유 정크아트는 실험집단의 여아에서 친환경태도를 개선시켰지만, 남아에서는 이러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집단 여아에서 친환경태도 하위요인 중 활동진술과 구두진술 지수가 사후에 증가하였으나, 정서 지수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친환경 문항 반응도 결과를 분석했을 때, 사전에 여아가 남아보다 ‘환경문제 인식’, ‘에너지 절약’, ‘수자원 절약’, ‘재활용 실천’ 등의 문항에 대해 양호한 반응을 보였다. 사전-사후 결과 비교에서는 사후에 ‘재활용 실천’ 지수가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뚜렷하게 상승하였고, ‘환경오염 걱정’ 지수는 여아에서만 상승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섬유 정크아트는 초등학교 여아의 친환경태도를 함양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 판단된다. 향후 초등학교 여아와 남아 모두의 친환경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정크아트 프로그램의 수정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fabric junk art on the ecofriendly attitudes of fourth grade students at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enrolled in 12 sessions of junk art, and those in the control group received an art lesson. A pretest showed considerably higher general index of ecofriendly attitudes in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In addition,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subclasses, such as activity statements, oral statements, and emotion. A comparison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showed that fabric junk art improved the ecofriendly attitude among female students but had no effect on male students of the same group. Among the subclasses of ecofriendly attitudes in female students, the activity and oral-statement indices increased in the post-test, but the emotional index remained unchanged. However, the response analysis showed that female students outperformed male students in terms of environmental problem recognition, energy saving, water resource saving, and recycling practice. After the junk art, the recycling practice index rose significantly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hil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concern index increased only in female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fabric junk art is effective in cultivating an ecofriendly attitude among the female students. To improve ecofriendly attitudes among both genders, a future study will focus on revising the junk art progra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및 내용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과학 소양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 대학 교정 생물 기반 생태동영상 활용 수업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생태 소양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의 지역 환경과 기후 변화 데이터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함양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생활 속 에너지 주제 온라인 가상실험실 수업의 효과성 분석 -소외지역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 토픽 모델링과 대화형 인공지능(ChatGPT)을 이용한 전국과학전람회의 에너지 관련 연구 주제 분석
- SSI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후 변화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후 소양과 의사 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 미국 뉴저지주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내용 분석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에너지 관련 성취기준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아동⋅청소년의 참여방안 연구
- 섬유 정크아트가 초등학생의 친환경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기후변화 동아리 활동이 기후변화 대응 실천 역량과 생태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