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 뉴저지주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내용 분석
이용수 196
- 영문명
- Analysis of Climate Change–Related Content in the New Jersey Student Learning Standard and the 2022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 발행기관
-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 저자명
- 김희경 이봉우
- 간행물 정보
- 『에너지기후변화교육』제13권 제2호, 163~17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를 기본틀로 교육과정을 구성한 미국 뉴저지주 교육과정과 우리나라의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후변화 내용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각각 두 교육과정의 수행 기대와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기후변화를 다루는 내용을 추출하고 학년급별로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뉴저지주 교육과정은 유치원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기후변화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기후변화 관련 개념 학습은 물론 기후변화에 인간이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다양한 활동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공학 설계를 통해 탐구 역량을 신장시키는 다양한 활동에서 기후변화를 예시로 제시하였다. 둘째,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이전 교육과정보다 기후변화를 명시적으로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고르게 기후변화를 학습하도록 제시하였다. 중학교 이후에는 기후변화의 발생 메커니즘과 관련된 과학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추가로 뉴저지주 교육과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기후변화 위기의 대응 방안 교육, 과학 탐구 활동과 연계된 기후변화 교육의 제안 등을 시사점으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representation of climate change in the 2022 revised Korean science curriculum and the New Jersey student learning standard, which mandate the adoption of a comprehensive climate change–related curriculum, is compared and analyzed. Content related to climate change were extracted from the performance expectation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two curriculums and compared across grade levels. The results revealed that (1) the New Jersey state curriculum incorporates content on climate change across all grade levels from kindergarten to high school. In addition, it includes various activities designed to mitigate human impact on climate change alongside learning concepts related to climate change. Furthermore , climate change is exemplified in various activities aimed at enhancing inquiry competencies throughengineeringdesign . (2) The 2022 revised Korean science curriculum includes more explicit references to climate change than previous iterations with an emphasis on consistent learning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From middle school onward, the curriculum focuses on scientific concepts related to climate-change mechanism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New Jersey state curriculum, this study proposes suggestions for climate-change education in terms of climate-change crisis-response education and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후과학 소양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 대학 교정 생물 기반 생태동영상 활용 수업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생태 소양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의 지역 환경과 기후 변화 데이터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함양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생활 속 에너지 주제 온라인 가상실험실 수업의 효과성 분석 -소외지역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 토픽 모델링과 대화형 인공지능(ChatGPT)을 이용한 전국과학전람회의 에너지 관련 연구 주제 분석
- SSI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후 변화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후 소양과 의사 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 미국 뉴저지주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내용 분석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에너지 관련 성취기준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아동⋅청소년의 참여방안 연구
- 섬유 정크아트가 초등학생의 친환경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기후변화 동아리 활동이 기후변화 대응 실천 역량과 생태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