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19 전후 경기도 중학교의 학생핵심역량 격차 변화양상 및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133

영문명
Changes in the Core Competence Gap of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Influencing Factors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김준엽 김자영 김호영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43권 제2호, 165~18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전후 경기도 중학생의 학생핵심역량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이러한 변화에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2018년과 2021년에 같은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유사종단자료 분석을 통해 코로나19 전후 가정의 경제 상황에 따라 역량의 격차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학생핵심역량의 변화가 학교별로 양상이 다른지, 이러한 학교 역량수준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은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의 월 소득이 높아질수록 인지적 역량이 높아지는 경향성이 코로나 전인 2018년보다는 코로나 후인 2021년에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전후 학교의 역량수준 변화를 살펴보면 인지적 역량의 경우 학교 향상도 차이가 가장 컸으며, 이어 자율적 역량, 사회적 역량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의 역량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학생 수준의 요인으로는 독서활동, 내재적 동기수준, 자기주도학습 성향 및 긍정적 교우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에서 교사 녹화영상 중심의 원격수업 정도가 높을수록 코로나 전후 사회적 역량의 하락 정도가 크거나 향상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코로나로 인해 심화된 소득계층 간 역량 격차에 대한 학교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며, 인지적 역량뿐만 아니라 사회적, 자율적 역량 함양을 위한 실질적인 학교 교육 방안 수립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nges in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economic background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is change. To this end, this study explores changes in competency gap by economic situation of families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in the competency level by student as well as the factors that influence school competency level.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higher the monthly income of a household, the higher the tendency to increase cognitive ability in 2021 (after COVID-19) instead of in 2018 (before COVID-19). Examining the change in the competency level of schools before and after COVID-19, the difference in school improvement was the largest in the case of cognitive competency, followed by autonomous and social competencies. At student level, reading activities, intrinsic motivation levels, self-directed learning tendencies, and positive companionships positively influenced the competency level of the school. In addition, the higher the degree of remote classes centered on teacher-recorded videos in schools, the greater the degree of decline in social competence before and after COVID-19 or the lower the degree of improvement. Therefore, actively responding to the competency gap between income classes, which deepened due to COVID-19, and establishing practical school education measures for cultivating social, autonomous, and cognitive competencies are necessary initiativ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준엽,김자영,김호영. (2023).코로나19 전후 경기도 중학교의 학생핵심역량 격차 변화양상 및 영향요인 분석. 교육논총, 43 (2), 165-180

MLA

김준엽,김자영,김호영. "코로나19 전후 경기도 중학교의 학생핵심역량 격차 변화양상 및 영향요인 분석." 교육논총, 43.2(2023): 165-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