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구락을 활용한 악⋅가⋅무 통합 예술 교수학습 방안
이용수 81
- 영문명
- Using Pogurak to Integrate Art Teaching and Learning in Ak-Ga-Mu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이정민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3권 제2호, 131~14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포구락을 통하여 전통음악을 이해하고 다양한 음악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한 글이다. 악⋅가⋅무에 유희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포구락의 특징이 교육적으로 실현되기 위하여 포구락의 구성 요소별 특성과 음악 교과서의 포구락 사용 현황을 정리하고, 포구락의 악⋅가⋅무를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포구락의 여러 특성은 진행 절차와 의물, 정재 반주, 무용으로 나누어 정리하고, 악기 편성과, 장단, 창사와 춤사위 등이 교육 활동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 초등 음악 교과서에서 포구락은 대체로 3∼4학년 군에서 다루어지고, 감상 영역과 놀이 활동이 활용되고 있었다. 포구락의 교육 방안은 ‘악 - 가 - 무’의 음악적 특징과 ‘연주 - 감상 - 창작’ 영역을 연계하여 8차시로 구성하였다. 영역 활동은 적극적 감상에서 다양한 연주 활동으로 진행되고 연주에서 적극적인 창작으로 이어지며, 여러 측면에서 음악의 의미를 체험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활동 주제는 영역 통합과 영역 확장으로 구분하고 학생들이 자기 주도성을 가지고 표현하고 창작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학생들의 의미를 담은 포구락을 발표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음악 교과뿐만 아니라 창의적 체험활동 등의 학교 예술활동에서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차시별 주제와 내용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and learning methods used to expose students to various musical experiences and understand traditional music through Pogurak, a traditional Korean court dance. To identify Pogurak’s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Ak-Ga-Mu music play element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ogurak component and the current use of Pogurak in music textbooks were identified and an integrated educational learning method was developed.
The Pogurak educational music, lyrics, and dance activities were divided into sequences, objects, traditional accompaniment, instrumental arrangements, long and short songs, chants, and dances. Pogurak is usually covered in third and fourth-grade Korean elementary music textbooks, which include an appreciation section and associated play activities. The Pogurak teaching plan was organized into eight periods that linked Ak-Ga-Mu musical features with playing, appreciating, and creating. The activities, which focused on the different meanings in the music, transitioned from active listening to performance and from performance to active creation. The activity themes were divided into area integration and area expansion to encourage students to express themselves independently and create meaningful Poguraks. The themes and content for each class were designed so that they could be used in both music and creative art activity classes.
목차
Ⅰ. 서 론
Ⅱ. 포구락의 구성 요소별 특징
Ⅲ. 포구락의 음악 교과서 활용 현황
Ⅳ. 포구락의 교수⋅학습 방안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저경력 초등 영어교사의 수업장학 경험에 대한 인식
- 만 2세 슬기반 영아들의 놀이양상과 교사 지원양상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메이키메이키를 활용한 초등학생용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 프로파일에 대한 예측 변인과 결과 변인 탐색
- 포구락을 활용한 악⋅가⋅무 통합 예술 교수학습 방안
- 생존수영교육 정책변화과정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 온라인용 수학 교구로서의 가변 탱그램과 가변 스핑크스퍼즐 개발
- 2022 개정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표현 영역 신체활동 예시 및 성취기준 탐색
- 코로나19 전후 경기도 중학교의 학생핵심역량 격차 변화양상 및 영향요인 분석
- 현상학적 관점에서 본 퍼포먼스 미술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경험
-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과서의 과학핵심역량(ScC) 반영 실태 및 학생의 인식: 5∼6학년군 교과서를 중심으로
-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소수 개념 이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