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상학적 관점에서 본 퍼포먼스 미술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경험
이용수 109
- 영문명
- Young Children Performance Art Experiences: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민정 이은영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3권 제2호, 109~13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퍼포먼스 미술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경험을 현상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A시 소재 P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9명을 대상으로 2022년 4월 4일부터 2022년 9월 21일까지 13회 퍼포먼스 미술활동을 실시하였으며, 참여관찰, 면담, 반성적 저널 등의 질적 자료를 수집한 후, van Manen(1994)의 주제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퍼포먼스 미술활동을 통해 유아들은 ‘마음에서 솟구치는 다채로운 정서의 표출’, ‘설렘과 자유를 향유하는 즐거운 몸짓들’, ‘내면에 숨겨진 가능성의 발현’, ‘서로 소통하며 협력하는 관계 맺음’, ‘상상의 물꼬가 트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본 연구는 퍼포먼스 미술활동의 교육적 본질과 가치를 밝히고, 유아ㆍ놀이 중심 미술교육의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loyed phenomenological research to analyze the performance art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nine four-year-old children enrolled in a kindergarten affiliated with P Elementary School in A-City, Gyeonggi-do. Observation data and qualitative data, such as children interviews and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were collected based on thirteen performance art activities, with the collected data analyzed using van Manen’s (1994) thematic analysis approach. It was found that young children experienced various emotions, excitement and freedom, the emergence of hidden potential, mutual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nd imaginative expression. This study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nature and value of performance art activities and suggests methods to ensure effective child-centered, play-based art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저경력 초등 영어교사의 수업장학 경험에 대한 인식
- 만 2세 슬기반 영아들의 놀이양상과 교사 지원양상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메이키메이키를 활용한 초등학생용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 프로파일에 대한 예측 변인과 결과 변인 탐색
- 포구락을 활용한 악⋅가⋅무 통합 예술 교수학습 방안
- 생존수영교육 정책변화과정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 온라인용 수학 교구로서의 가변 탱그램과 가변 스핑크스퍼즐 개발
- 2022 개정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표현 영역 신체활동 예시 및 성취기준 탐색
- 코로나19 전후 경기도 중학교의 학생핵심역량 격차 변화양상 및 영향요인 분석
- 현상학적 관점에서 본 퍼포먼스 미술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경험
-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과서의 과학핵심역량(ScC) 반영 실태 및 학생의 인식: 5∼6학년군 교과서를 중심으로
-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소수 개념 이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