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과서의 과학핵심역량(ScC) 반영 실태 및 학생의 인식: 5∼6학년군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용수 79
- 영문명
- Science core Competencies (ScC) of Certified 5th and 6th-Grad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Student Perceptions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채희인 노석구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3권 제2호, 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검정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핵심역량의 특성을 분석하고,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여 교과서가 학생의 과학핵심역량 함양에 적합하게 개발되었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과 5∼6학년군 검정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 제시된 과학핵심역량을 교과서별, 영역별로 분석하고 하위 요소의 반영 순위를 분석하였으며, 246명의 5∼6학년군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또한 사전 연구 자료와 통합하여 초등학교 3∼6학년 전체 과학과 검정 교과서의 과학핵심역량 분석 및 3∼6학년 학생 402명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2015 개정 초등학교 5∼6학년군 과학과 검정 교과서에는 2,272개의 과학핵심역량이 제시되어 있었으며, 탐구 > 사고 > 의사 > 문제 > 참여 순으로 제시 비율이 높았다. 둘째, 5∼6학년군 학생의 과학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평균은 3.08이었으며,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능력이 가장 높았다. 3∼4학년군 교과서를 분석한 사전 연구 자료와 통합하여 초등학교 3∼6학년 전체에 대한 분석을 한 결과 3,858개의 과학핵심역량이 반영되어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인식 특성을 고려하고 과학핵심역량 함양에 적합한 2022 개정 과학과 검정 교과서 개발 과정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o assess whether the revised 5th and 6th-grade 2015 science-authorized textbooks had been appropriately developed to improve science core competencies (ScC), this study analyzed the textbook competencies and the student perceptions of these competencies. The 5th and 6th-grade ScC in the inquiry activities were analyzed by publisher and domain, the sub-element rankings were analyzed, and the science core competencies (ScC) perceptions were assessed by 246 5th and 6th graders. Prior research data were integrated to analyze the core competencies in all 3rd–6th-grad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the perceptions of 402 3rd–6th-grade student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2272 ScC presented in the first 2015 revised science-authorized textbook for 5th and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verage of the 5th and 6th-grade perceptions for the science core competencies (ScC) was 3.08, and the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were the highest. The analysis of prior 3rd–6th-grade elementary school research data revealed that there were 3858 ScC.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guidance on the need to consider students' characteristics when improving ScC in the revised 2022 science-authorized textbook development proce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저경력 초등 영어교사의 수업장학 경험에 대한 인식
- 만 2세 슬기반 영아들의 놀이양상과 교사 지원양상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메이키메이키를 활용한 초등학생용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 프로파일에 대한 예측 변인과 결과 변인 탐색
- 포구락을 활용한 악⋅가⋅무 통합 예술 교수학습 방안
- 생존수영교육 정책변화과정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 온라인용 수학 교구로서의 가변 탱그램과 가변 스핑크스퍼즐 개발
- 2022 개정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표현 영역 신체활동 예시 및 성취기준 탐색
- 코로나19 전후 경기도 중학교의 학생핵심역량 격차 변화양상 및 영향요인 분석
- 현상학적 관점에서 본 퍼포먼스 미술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경험
-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과서의 과학핵심역량(ScC) 반영 실태 및 학생의 인식: 5∼6학년군 교과서를 중심으로
-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소수 개념 이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