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표현 영역 신체활동 예시 및 성취기준 탐색
이용수 196
- 영문명
- Exploration of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Physical Activity Example and Achievement Criteria in Expression Area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이강순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3권 제2호, 61~7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표현 영역 신체활동 예시 및 성취기준을 탐색하여 학습 내용의 범위와 수준 그리고 학습 결과를 알아보고, 논의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하여 초등학교에서 표현 영역 수업의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이미 존재하는 연구 결과물이나 자료, 기록물 등 문헌자료를 활용하여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사회ㆍ문화현상을 연구하는 질적 연구의 하나인 문헌 연구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사항은 용어 사용의 다양화, 리듬표현과 즉흥 표현의 기초화, 스포츠/전통/현대 표현 활동의 재구조화, 심미적 표현 의미의 확대화이다. 본 연구는 간단하면서도 명료하게 움직임을 명시하고, 다양한 스텝에 대한 정확한 설명 등 용어 사용의 정확화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영문 초록
With the aim of revitalizing elementary school expression area classes, this study explored the physical activity example and achievement criteria in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o determine the learning content and learning result ranges and levels. Literature research, a qualitative method for studying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was employed for this study, which involved examining existing research results, associated data, and record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the diversity of terminologies, the rhythmic and improvisational expressions, the restructuring of the expressions for sports/traditional/contemporary activities, and an expansion of the aesthetic expressions. This study proposes that a further study be conducted on the accuracy of the terminology, such as specifying movements simply and clearly and accurately describing the various step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표현 영역 신체활동 예시: 학습 내용의 범위와 수준
Ⅳ. 2022 개정 채육과 교육과정 표현 영역 성취기준: 학습 결과
Ⅴ. 논 의
Ⅵ.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저경력 초등 영어교사의 수업장학 경험에 대한 인식
- 만 2세 슬기반 영아들의 놀이양상과 교사 지원양상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메이키메이키를 활용한 초등학생용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 프로파일에 대한 예측 변인과 결과 변인 탐색
- 포구락을 활용한 악⋅가⋅무 통합 예술 교수학습 방안
- 생존수영교육 정책변화과정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 온라인용 수학 교구로서의 가변 탱그램과 가변 스핑크스퍼즐 개발
- 2022 개정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표현 영역 신체활동 예시 및 성취기준 탐색
- 코로나19 전후 경기도 중학교의 학생핵심역량 격차 변화양상 및 영향요인 분석
- 현상학적 관점에서 본 퍼포먼스 미술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경험
-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과서의 과학핵심역량(ScC) 반영 실태 및 학생의 인식: 5∼6학년군 교과서를 중심으로
-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소수 개념 이해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